X

대학 부정입시 5년간 33건…64%가 ‘재외국민 전형’

신하영 기자I 2018.04.08 21:52:54

재외국민전형 증명서 위조 등 적발…‘입학취소’ 처분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최근 5년간 교육당국에 의해 적발된 대학의 부정입시 사례가 33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2013~2018년)간 부정입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이후 적발된 부정입시 건수는 총 33건이다.

이 가운데 재외국민 특별전형이 전체의 64%(21건)를 차지했다. 이는 부모가 재외공관이나 해외지사 등에 근무하는 수험생에게 응시자격을 주는 특별전형이다. 부모의 해외 거주로 불가피하게 해외 학교를 오래 다녔을 경우 국내 교육환경에 적응하기 어렵다는 점을 배려하기 위한 정원 외 전형이다. 일반적으로 대학별 총 입학정원의 2%, 모집단위별 정원의 10% 이내에서 선발하고 있다.

재외국민 특별전형의 입시부정 유형은 △재외국민 특별전형 재직(경력) 증명서 등 위조 △재외국민 지원자격 서류 허위 제출 △재외국민 특별전형 보호자 재직기간 미 충족 △재외국민 특별전형 성적증명서 등 위주 등이다.

이밖에도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이나 특성화고졸 재직자 전형 등에서 부정입시가 적발됐다. 연도별로는 2013년이 1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14년 6건 △2015년 4건 △2017년 4건 △2018년 3건 등이다. 부정입시가 적발된 대학 중에선 사립대가 2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립대 6건, 공립대 1건으로 조사됐다.

노웅래 의원은 “학부모와 수험준비생들이 안심하고 학습에 전념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입시가 이뤄져야 하며 교육당국은 보다 엄격한 입시관리를 통해 부정입시를 원천 차단해야한다”고 촉구했다.

2013년 이후 연도별·유형별 대학 부정입시 적발현황(자료: 노웅래 의원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