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문화유산 과거 열쇠 '동위원소'에 달려있다

김성곤 기자I 2015.07.21 09:17:30

국립문화재연구소 23일 학술 심포지엄 개최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오는 23일 대전 호텔인터시티에서 ‘동위원소에 담겨 있는 문화유산 이야기’를 주제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 6월 문화재 분석연구 분야의 발전을 위해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이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른 것. 문화유산 분야에서의 ‘동위원소(同位元素)’ 활용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위하여 마련됐다.

동위원소는 양성자의 수는 같으나, 중성자의 수가 달라 질량수(양성수+중성자수)가 다른 원소다. 문화유산의 연대 측정, 산지 추정, 식생활과 고(古)환경 복원, 거주와 이동 등을 밝혀낼 수 있어 문화재 연구에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외 전문가 12명과 함께 동위원소 분석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문화재 분야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제1부에서는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이용한 청동기의 원료 산지 연구(국립문화재연구소 김소진 연구사)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광역분포도 제작 및 활용(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정연중 박사)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로 본 고대 한일 교류와 국산 원료의 사용 시점(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사이토 교수) △최근 15년 간 중국 납동위원소 고고학에서의 성과(중국과학기술대학 김정요 金正耀 교수) 등 의 주제발표가 마련됐다.

제2부에서는 △뼈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에 담겨 있는 개인과 집단의 식생활 정보 복원(국립문화재연구소 신지영 연구관)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한 국내산 소나무의 산지 구분(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동호 박사) △스트론튬 동위원소의 문화재 관련 연구에의 활용(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광식 부원장) △고고학에서의 황 동위원소 활용 연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임재수 박사) △고고학 연구에 있어 방사성탄소 연대의 의미와 활용(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홍완 박사) 등 흥미로운 발표가 이어진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국립문화재연구소 한민수 연구사, 충남대학교 박순발 교수, 공주대학교 김규호 교수의 종합토론이 마련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