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교통호재' 김포·고양 내달 6500가구 공급.. 분양시장 달군다

이진철 기자I 2017.11.22 09:29:24

수도권 서북북 김포도시철도·GTX 등 교통여건 개선 호재
미분양 감소, 주택거래 증가 등 부동산시장 상승세

분양 일정 및 규모는 업체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수도권 서북부 주거지로 주목받는 김포·고양시에서 연내 6500여가구의 신규 아파트가 분양된다. 내년 김포도시철도 개통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 추진 등 교통여건 개선 호재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 GS건설·금호건설·신동아건설 등 분양 나서

22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경기 서북부지역에서는 아파트 6개 단지 총 6534가구가 공급될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김포시가 4개 단지 3847가구, 고양시 2개 단지 2687가구의 새 아파트가 각각 공급될 예정이다.

신동아건설과 롯데건설은 김포시 신곡6지구에서 ‘캐슬앤파밀리에 시티’ 전용면적 59~111㎡ 1872가구의 공급에 나선다. 김포도시철도 고촌역(예정)을 이용할 수 있고 주변 김포대로를 통해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 자유로 접근성이 좋다.

금호산업(002990)은 김포시 양곡지구 B-2블록, D-1블록에서 ‘한강 금호어울림’ 전용면적 59~84㎡ 873가구를 분양한다. 한강신도시 생활권으로 내년 개통예정인 김포도시철도 구래역(예정)이 가깝고, 제2순환고속도로 및 김포한강로 접근이 우수하다.

금성백조주택은 김포시 김포한강신도시 Cc-3블록에서 ‘한강신도시 구래역 예미지’를 공급한다. 전용면적 78~90㎡의 아파트 701가구와 전용면적 84㎡ 오피스텔 78실로 구성된다.

GS건설(006360)은 경기 고양시 식사2지구 A1블록에서 ‘일산자이2차’ 전용면적 59~84㎡ 802가구를 분양한다. 경의중앙선 백마역, 풍산역과 인접하며, 일산신도시를 가로지르는 지하철 3호선도 이용할 수 있다.

신안건설산업은 고양시 벽제동 목암지구에서 ‘고양 목암지구 신안 실크밸리’ 전용면적 64~84㎡ 1885가구 중 100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3호선 삼송역을 이용할 수 있고, 제2외곽순환도로를 이용한 서울 및 일산, 파주 등 수도권 서북부 접근성이 좋다.

◇ 미분양 감소세 뚜렷… 신규 분양도 호조

경기 서북부는 택지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교통망과 생활 인프라 시설이 빠르게 확충되고 있어 분양시장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김포시는 한강신도시 개발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서울 마곡지구까지 30분대로 접근가능한 김포도시철도가 내년 개통을 앞두고 있다. 파주시는 운정신도시부터 서울역, 동탄까지 잇는 GTX 연장선이 확정돼 내년부터 본격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삼송지구,지축지구 등 택지조성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는 고양시에는 올해 스타필드 고양과 이케아가 개장했고, 서울~문산고속도로(2020년 개통예정) 및 신분당선 연장안도 추진되고 있다.

최근 미분양 아파트도 크게 줄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김포시는 미분양 물량이 작년 1월 2696가구였지만 올 9월 기준으로 미분양 물량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고양시 미분양은 1068가구에서 463가구로 감소했다.

신규 분양물량의 청약경쟁률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9월 경기도 김포 걸포3지구에서 분양한 GS건설 ‘한강메트로자이2차’는 특별공급을 제외한 364가구 모집에 2926명이 몰려 평균 8.04대 1의 1순위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5월 분양한 ‘한강메트로자이1차’도 7.14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했다.

지난 7월 경기도 고양 지축지구에서 분양한 대우건설 ‘지축역 센트럴 푸르지오’는 503가구 모집에 8221명이 몰려 16.3대 1의 치열한 경쟁을 보였다. 같은 달 분양한 반도건설 ‘지축역 반도유보라(B3블록)’는 9.6대1로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도시개발이 활발한 경기 서북부는 서울 접근성을 바탕으로 지역 수요뿐만 아니라 서울권 실수요자들도 많이 몰리고 있다”며 “내년 김포도시철도 개통과 GTX연장선 등 다양한 개발호재가 있는 만큼 부동산시장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