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산업부, 시멘트 업계에 원만한 가격협상 당부

김형욱 기자I 2023.06.23 11:34:10

7월 요금인상 예고 속 두 번째 만남
업계, 탄소중립 정책 따른 부담 토로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레미콘·건설업계가 시멘트업계의 내달 요금인상 계획을 우려하는 가운데, 정부가 시멘트업계를 만나 원만간 가격협상을 당부했다.

서울의 한 재개발단지 공사현장에서 레미콘 트럭이 운행 중인 모습.(사진=연합뉴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이날 서울 한국시멘트협회에서 시멘트 업체 간담회를 열고 쌍용C&E를 비롯한 7개 시멘트 생산기업 및 시멘트협회 관계자를 만났다.

쌍용C&E·성신양회 등은 최근 전기요금 인상 등 원가 부담을 이유로 내달부터 공급가격 추가인상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시멘트 수요측인 레미콘·건설업계는 이에 반발하고 있다. 시멘트업계는 원료인 유연탄과 함께 원가의 20~25%를 차지하는 전기요금이 급등하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건설업계 등은 최근 2년 새 네 번의 인상으로 이미 40%가량 오른 상황에서의 추가 인상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하소연하고 있다. 이 추세라면 연초 시멘트 수급 불안에 이어 또다시 시멘트 수요·공급 측의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

산업부는 이에 이달 13일 시멘트 업계 간담회를 열고 ‘시장 안정’ 노력을 당부한 데 이어 이날에는 좀 더 직접적으로 ‘가격 안정’을 당부했다. 국장급인 양기욱 산업부 산업공급정책관이 주재한 회의도 주 실장으로 격상해 진행했다.

주 실장은 이 자리에서 “업계 경영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유연탄·전기요금 등 각종 비용 변동상황을 종합 고려해 앞으로 원만한 가격 협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 달라”고 부탁했다.

시멘트 업계는 지난해 원료인 유연탄 가격 폭등에 따른 적자 누적과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설비 투자비용 증가에 따른 경영 여건의 어려움을 호소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특히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질소산화물 감축 부담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 2021년 시멘트 산업에서 유연탄 대신 폐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석회석 원료에 혼합재를 섞는 등 방식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3410만t 줄인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올초 산업 부문의 부담을 일부 완화하기는 했으나, 시멘트 기업으로선 적잖은 투자 부담이 뒤따르는 상황이다.

주 실장은 이 같은 업계의 호소에 “정부는 국가 경제발전과 건설산업의 기초인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기술을 신성장·원천기술로 지정해 세액공제 등 혜택을 줘 왔으며 앞으로도 업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 지원 확대에 노력할 것”이라며 “업계도 수급 차질이 없도록 노력해달라”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