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최근 5년간 모방상품 등 부정경쟁행위로 기업피해 44조 달해"

박진환 기자I 2021.09.07 10:18:22

특허청, 부정경쟁행위 실태조사 결과 47.7% 기업이 대응無
소비자 피해도 46% 달해…경제적 부담 등으로 대응 어려움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부정경쟁행위로 기업과 소비자 모두 큰 피해를 경험하고 있지만 경제적 이유 등으로 법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우리기업의 부정경쟁행위 피해는 모두 39만건에 총피해규모는 44조원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허청은 ㈜KDN리서치를 통해 지난 7~8월 2021년 부정경쟁행위 실태조사를 실시했다.이번 실태조사는 전국 1250개 기업과 만 20세 이상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기업과 소비자로 나눠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인식과 피해경험 등 현황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선 기업 대상 조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부정경쟁행위로 인해 직접 피해를 경험하거나 부정경쟁행위자를 목격한 적이 있는 기업은 12.6%로 조사됐다. 피해기업이 경험한 부정경쟁행위 유형으로는 모방상품의 제작·판매 행위가 86.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1250개 기업의 피해경험 및 피해규모 조사결과를 전국사업체(2019년 통계청 기준 417만 6549개사)로 적용했을 때 최근 5년간 우리기업의 부정경쟁행위 피해경험은 39만건에 총 피해규모는 44조원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부정경쟁행위로 인한 피해가 막대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피해대응에 있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47.7%)가 많았으며, 그 이유로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비중(67.7%)을 차지했다.

소비자 대상 조사결과를 보면 부정경쟁행위로 직접적인 피해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46%에 달하는 등 소비자의 피해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의 부정경쟁행위 피해경험에 있어 원산지나 생산지의 거짓·오인표시 및 성능·수량·용도 허위표시로 인한 피해가 37.3%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의 피해가 많지만 부정경쟁행위 목격자 중 신고·고소·고발 등의 조치를 취하지 못한 경우는 81.4%에 달했으며,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절차·방법을 모르거나(35.5%), 실효성이 부족해서(29.4%)라고 응답한 비율이 64.9%로 집계됐다.

문삼섭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장은 “부정경쟁행위 피해가 막대함에도 기업이나 소비자가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이 큰 민사적 구제수단 대신 행정조사 또는 특허청 특별사법경찰에 의한 조사·수사 등 공적 구제조치를 강화하고, 이러한 대응절차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행 부정경쟁방지법상 보호대상은 경쟁업체 등에 국한되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일반 소비자도 부정경쟁방지법의 보호대상이 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