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예비교사 인·적성검사 유명무실···부적격 판정 0.6% 불과

신하영 기자I 2017.10.23 09:57:40

[2017 국감]김병욱 의원 ‘교직 인·적성검사 부적격자 현황’
부적격자 가려낼 목적으로 도입···부적격비율 매년 줄어
“심층면접 강화해 교육계 성범죄 등 비위행위 예방해야”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교직 인·적성검사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적격 판정을 받는 비율이 1% 미만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교직 인·적성 검사가 예비교사 중 부적격자를 가려내는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직 인·적성검사 부적격자 현황’에 따르면 2017년 187개 대학 3만8204명 중 부적격 판정을 받은 예비교사는 259명(0.6%)에 그쳤다.

교직 인·적성검사는 교대나 사범대 등 교직 이수과정에서 부적격 교원을 가려낼 목적으로 시행하는 시험이다. 2013년부터 모든 교원 양성기관에서 이를 의무화했다.

교직 인·적성검사 부적격자 현황에 따르면 2014년 5만124명 중 부적격자가 885명(1.76%), 2015년은 6만3097명 중 559명(0.88%)이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2016년에는 5만9771명 중 435명(0.72%)이, 2017년은 3만8204명 중 259명(0.6%)이 부적격자로 걸러졌다. 인·적성검사 단계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는 비율이 매년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올해 기준으로 부적격자를 한 명도 걸러내지 않은 대학은 163곳(87.2%)이다.

김병욱 의원은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 임용시험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이 교직적성 심층면접 강화로 전체 40%가 응답했고, 전공지식은 14% 정도에 그쳤다”며“예비교원 단계에서 부적격자를 가려내지 않으니 교육현장에서 성범죄를 비롯한 각종 비위 행위들이 교육현장에서 계속 발생하는 것이다. 심층 면접 강화를 통해 교사로서의 인성과 자질을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부적격자 현황(단위: 명, %)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