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장연, 지하철 탑승 시위 재개…활동가 2명 연행

이영민 기자I 2024.01.22 09:34:55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사 23주기에 시위 재개
퇴거조치 중 활동가 100명 경찰과 마찰
역사 내 혼잡 있었지만 열차는 정상 운행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참사 23주기를 맞아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의 퇴거 요구에 불응한 장애인 활동가 2명이 연행됐다.

전장연 활동가가 22일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동대문역 방향 승강장에서 지하철 탑승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사진=이영민 기자)
전장연은 22일 오전 8시 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역과 오이도역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에 나섰다. 이날은 2001년 오이도에서 장애인 노부부가 역귀성하다가 리프트에서 떨어져 중상을 입고 숨진 날로, 전장연 활동가 120여 명은 혜화역과 오이도역에서 동시에 지하철 탑승을 시도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와 경찰에 의해 활동가들이 역사 밖으로 퇴거조치되고, 이형숙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와 다른 장애인 활동가 1명이 퇴거불응·업무방해·철도안전법 위반 혐의로 연행되면서 열차 탑승은 이뤄지지 않았다.

혜화역 승강장은 한때 혼잡했지만, 무정차 통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오전 8시부터 전장연 활동가 100명과 경찰, 서울교통공사 관계자가 뒤엉키면서 열차 승객들의 이동이 제한됐다. 통학을 위해 4호선을 이용하는 우모(24)씨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당황스럽고 복잡해서 놀랐다”며 “매번 보는 시위라 이해하지만 불편도 있다”고 밝혔다. 종로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27)씨는 “지하철이 정상적으로 갈 수 있으면 모르는데 이렇게 막고 열차가 지연되면 출퇴근에 지장이 생기지 않느냐”며 “이분들처럼 승객들도 먹고사는 문제가 달렸으니 다른 사람들의 편의도 존중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장연은 이날도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 정부에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는 2021년 교통약자법 개정을 통해 시내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의무도입과 특별교통수단 광역이동지원을 명시한 국가책임 관련 의무예산을 반영하지 않고 무시하고 있다”며 “총선에서 윤석열 정권을 심판해 정당한 권리를 쟁취해 나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냈다.

앞서 전장연은 1월부터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4년도 예산안에 전장연이 요구해 온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예산 271억원 증액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전장연에 따르면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관련 예산은 9억 7500만원이 증액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전장연은 지난 2일에도 지하철 탑승을 시도해 경찰과 충돌하기도 했다.

전장연은 2021년 12월 3일부터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와 역사 내 선전전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공사는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역사 진입 차단 △진입 시 승강장 안전문 개폐 중단 등 승차 제한 △모든 불법행위에 법적 조치 등을 골자로 한 3단계 대응책을 발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