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치매노인 케어부터 증인 신변보호까지.. SK텔레콤, 안전 IoT 단말기 10만대 돌파

김현아 기자I 2017.11.15 09:05:08

SKT 스마트시티 기술로 범죄, 교통, 약자보호 등 도시문제 해결 지원
교육부·복지부·국토부·5개 지자체 이어 경찰·검찰과도 협력
연내 수원, 시흥 등으로 확대, 내년 상반기 내 서울시 25개 구로 확대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SK텔레콤이 교육부와 복지부, 교통부, 경찰청, 검찰청 등 정부기관과 서울시 성동구, 부산시 강서구, 대전시, 오산시, 안양시의 5개 지자체와 각종 도시문제의 해소에 나서며 스마트시티 본격화를 이끌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 성동구의 관제 센터에서 지역의 연장자에게 응급호출 서비스를 소개하는 모습이다. SK텔레콤 제공
치매노인이나 유치원생 케어부터 증인의 신변을 보호하는 일까지 기기에 센서를 붙여 통신망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안전한 도시 생활을 보장해주고 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교육부와 복지부, 교통부, 경찰청, 검찰청 등 정부기관과 서울시 성동구, 부산시 강서구, 대전시, 오산시, 안양시의 5개 지자체와 제휴해 공급한 안전 IoT 단말기 보급이 10만 대를 넘었다고 15일 밝혔다.

SK텔레콤의 지능형 응급호출 시스템 및 안전망 이용고객의 수가 11월 현재 10만을 넘어선 것이다. 2012년 앱 형태의 ‘스마트 T 지킴이’로부터 시작해 현재 3G/LTE를 넘어서 IoT(로라, LoRa)망을 활용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까지 도입된 단말기는 총 6종이다.

▲연도별 SK텔레콤 도입 안전 단말
2014년 교육부와 함께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U-안심알리미’를 선보였는데, 학생들의 등·하교 알림부터 위치확인, 응급호출 및 알림, 통화 등의 기능을 제공해 3만6000여명이 이용 중이다.

2016년에는 격오지 근무 교사들이 응급 시 알림을 보낼 수 있는 ‘교사 안심서비스’를 교육부와 시작했다. 올해는 보건복지부와 가정 방문을 담당하는 복지공무원 6000여명을 대상으로 응급상황에서 즉시 호출이 가능한 ‘안전지킴이’ 서비스를 선보였다.

2016년 7월에는 국토교통부와 세종시, 안양시, 오산시, 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함께 통신사로는 유일하게 ‘사회적 약자 보호 연계시스템 구축’을 통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경창청과 협력, 원스톱 안전 지원

특히 연내 지자체의 CCTV 정보가 위급 상황 시 경찰에 동시에 제공돼 더 신속하고 종합적인 대처가 가능해졌다.

제공되는 스마트워치는 대부분의 웨어러블 단말들이 제공하지 않는 와이파이(WiFi) 위치 확인 기능을 추가해 실내에서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기존 LTE와 3G, GPS 등과 종합한 위치정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출동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지자체의 CCTV와 경찰청을 연결하는 안심 서비스는 현재 SK텔레콤과 관제센터가 연결돼 CCTV 정보가 제공되는 지자체 5곳만 가능한 상황이지만, 연내 수원, 시흥, 인천, 광주, 김해 등이, 서울시내 25개 구는 내년 상반기에 적용하는 등 서비스 가능 지역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 밖에도 SK텔레콤은 검찰청의 범죄 피해자 신변보호를 위한 스마트워치를 보급할 예정이다. 현재 제공 단말의 최종 검증을 진행 중이다.

김성한 IoT 솔루션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의 시민 안전망 서비스가 경찰의 신변보호 프로그램까지 확대되며 더 많은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단순 이익 창출보다는 우리회사가 갖고 있는 ICT 기술로 사회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