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의대 증원 후폭풍…조선대병원 전공의 7명 사직서 제출

김민정 기자I 2024.02.16 10:31:16

빅5병원 전공의 전원 19일까지 집단사직
의협, 17일 투쟁 방향 결정

[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의 사직 행렬이 시작된 가운데 조선대학교병원에서 전공의 7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조선대학교병원 전공의 7명이 전날 사직서를 제출했다. 조선대병원에는 142명의 전공의가 근무하고 있다.

전공의들은 ‘개인 사유’를 이유로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정부의 의대 증원 계획이 직접적 사유가 된 것으로 보인다.

전남대학교병원에서는 아직까지 전공의 사직서가 제출되거나 집단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주요 5개 병원인 빅5(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병원)전공의들은 전원이 19일까지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 이후에는 근무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날 오후 11시부터 이날 오후 2시까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는 응급 당직의 핵심을 맡는 만큼 이들이 집단으로 의료 현장을 떠나면 ‘의료 공백’이 커지면서 환자들의 불편이 극심할 것으로 우려된다. 대전협에 가입된 전공의는 전국 140개 병원, 총 1만 5000여 명이다.

‘빅5’ 전공의가 실제 근무를 하지 않게 되면 의료 차질로 인한 환자들의 불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5대 대형병원 의사 중 전공의 비중은 37%에 달한다. 이들 병원에 이어 전국의 다른 병원 전공의들도 집단 사직에 동참할 가능성이 크다.

전공의들에 이어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집단행동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국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동맹휴학(집단휴학) 참여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하기로 했다.

정부는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할 경우 의사 면허를 취소하는 것까지 고려하겠다며 엄정 대응 방침을 밝혔다.

각 수련병원에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내린 정부는 전공의의 개별적인 사직서 제출도 의대 증원 항의 성격을 띤다면 집단 사직서로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의협은 전날 전국에서 집회를 연 데 이어 오는 17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의대 증원에 대한 향후 투쟁방안과 로드맵 등을 논의해 결정하기로 했다.

의협은 정부가 지난 6일 2025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직후 회장 사태와 함께 투쟁 전열을 갖췄다. 지난 7일 대의원 총회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위원장으로 김택우 강원도의사회장을 선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