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시대 MZ세대의 사회성 발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의 사회성 점수는 오히려 X세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는 지난해 6∼7월 국민 52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생활태도, 행동양식 등 사회성을 측정했다. 조사 대상은 △13∼18세(후기 Z세대·2004∼2009년생) 1471명과 학교 밖 청소년 400명 △대학생인 전기 Z세대(1996년∼2003년생) 800명 △사회 초년생인 후기 M세대(1989년∼1995년생) 800명 △전기 M세대(1983년∼1988년생) 500명 △X세대(1965년∼1982년생) 1300명이다.
연구팀은 조사대상을 상대로 ‘나는 쉽게 친구를 사귄다’ ‘나는 친구 혹은 직장동료에게 먼저 말을 건다’ ‘나는 문제나 논쟁거리가 있을 때 친구 혹은 직장동료들과 대화로 푼다’ ‘나는 학교나 직장에서 정한 일은 내가 싫더라도 지킨다’ 등의 문장들에 대한 실천 빈도와 중요도를 분석했다.
|
연구팀은 Z세대 학생 청소년(52%)이 가장 긍정적인 유형인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그 뒤를 이어 후기 Z세대인 대학생(49%), 전기 M세대(42%), 후기 M세대(20%) 순으로 나타났다. MZ 오피스 속 MZ 행동에 분노를 삭였던 X세대는 19%에 불과했다.
반면 X세대의 경우 ‘비일반패턴의 불안정한 사회적 행동’ 유형이 42%로 2위였다. 1위는 학교 밖 청소년 집단(51%)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세대 간 대결 구도에 가려진 세대 내 이질성에 주목하여 사회성이 취약한 ‘세대’가 아니라 사회성이 취약한 ‘집단’에 지원을 해야 한다”며 “오프라인 공간 못지않게 온라인 공간 또한 사회성을 기르는 데 중요한 장이 됐다”고 평가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반 사이 출생한 M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중반 사이 태어난 Z세대를 묶어 쓰는 나라는 한국 뿐”이라며 “심지어 이들도 계층·성별에 따라 차이가 크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기성세대의 관점에서 MZ라는 박스에 가두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