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정원·과기정통부·중기벤처부 등, 신종 기술유출 위협 대응 모색

이후섭 기자I 2021.10.15 10:38:28

기술유출 사각지대 해소 등 실질적 대안 마련 논의 이뤄져

지난 14일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특허청,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등이 참여한 ‘2차 민·관·학 신종 기술유출 위협 대응 협의회(TRAT)’가 개최됐다.(사진=KISIA 제공)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특허청과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는 `2차 민·관·학 신종 기술유출 위협 대응 협의회(TRAT)`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회 제출 자료에 의하면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한 해킹 공격이 2017년 287건에서 2020년 603건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피해기업의 98%가 중소기업 및 비영리단체임이 밝혀져 중소기업 대상의 기술유출 피해가 여전히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협의회(TRAT)는 기업 내 핵심기술 유출이 기업 존속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하락을 초래하기에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보호에 대한 실질적 대안 마련을 위해 정부부처 및 산업계, 학계가 지난 5월에 발족해 운영 중이다.

이번 2차 협의회에는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특허청에서 참여했고, 유관기관으로는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이노비즈협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벤처기업협회, 여성벤처협회,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 등 8개 기관에서 참여했다. 안랩 등 10개 기업 대표와 학계 전문가들도 참여했다.

운영사무국 상근기관장의 1차 협의회 주요내용 및 TRAT 역할 강화 방안 발표를 시작으로 △첨단기술 유출 현황 및 대응 △해킹을 통한 기술자료유출 국외 사례 △최신 사이버 기술자료 유출 위협 트렌드 △산업단지와 스마트팩토리 기업 중심의 4차 산업혁명시대 산업기술 보호관리 등을 주제로 민·관·학 전문가의 강연이 진행됐다. 주요의제 토론에서는 신종기술 유출 위협 문제점과 대응방안, 향후 협의체 운영방안에 대한 전문가 토론이 이뤄졌다.

협의회 의장인 강석균 안랩 대표는 “기존에 기술유출의 사각지대에 있는 산업단지나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기술유출로 인해 큰 피해를 보지 않도록 위협정보를 적극 공유하고 민·관·학 전문가가 함께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협의회(TRAT)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이번 협의회를 통해 논의된 신종 기술유출 대응 방안을 검토해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정원 관계자는 “미중 패권경쟁 등 기술 국가주의 확산에 따른 세계 각국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기술 확보 경쟁 속에서 우리 기술의 해외 유출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학의 협업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협의회를 통해 새로운 기술 유출 위협에 발빠르게 대응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