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동시다발 감염 확산”…2학기 전면 등교 가능할까

장구슬 기자I 2020.08.14 09:36:30
[이데일리 장구슬 기자]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함에 따라 방역당국이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5월 이태원 클럽 사태 때보다 지금이 더 위험하다는 질병관리본부의 경고도 나왔다.

남대문 시장 케네디상가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가운데 지난 10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숭례문 앞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이와 관련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를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동시에 환자가 발생하니까 역학조사를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태원 때 사실 위기감을 많이 느꼈는데, 당시엔 이태원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하고 그 불이 물류센터로 가고 개척교회로 가고 연쇄적으로 조금 틈을 주면서 진행이 됐기 때문에 힘들어도 추적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고위험으로 생각했던 시설 전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회, 식당, 카페, 시장, 학교 등 (감염자) 여러 곳에서 동시에 환자가 발생해 역학조사를 하는 인력들이 엄청 버거워하는 상황이 시작되고 있다. 또 그걸 추적을 계속해나가야 하는데 힘든 상황이다. 특히 서울시는 하루 30명이면 역학조사하기 버겁다는 얘기를 했었고 경기도도 20명을 얘기했는데 어제 (확진자가) 서울이 25명, 경기도 16명이었다”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전문가들이 카페, 식당, 패스트푸드점 등 다 위험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발생을 안 하고 있어서 좀 의아해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생각보다 국민들이 거리두기를 강화하면서 그런 장소를 이용할 때 테이크아웃을 한다든지 실내에서 거주하는 시간을 최소화했었던 부분들, 국민이 노력한 부분들이 잘 적용이 됐는데 그 부분이 깨지고 있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장마 때문에 실외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대부분 어쩔 수 없이 실내활동이 늘어난 측면도 원인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또 지금 확산세가 이어진다면 수도권에서 2학기 전면등교가 불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전문가들은 계속 갈 거라고 생각하고 2학기도 쉽지 않을 거라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지난주 열린 교육부 토론회에서 ‘2학기 전면 수업이 가능하냐’고 했을 때 제가 전제로 든 게 지역 감염 안정화였다”면서 “지금 수도권이 위험해지기 시작했기에 앞으로 2주 정도 이상 유지되면 수도권 전면등교 못 하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 정도의 등교수업 수준 정도를 할 정도로 인력이 가능했었는데 확 늘어나게 되면 지금 인력 가지고는 보건교사나 선생님들이 지쳐서 감당을 못한다는 얘기”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처럼 비슷한 시기에 1차 유행을 했던 이스라엘은 전면 등교하면서 2차 유행이 시작돼서 지금 고생하고 있다. 학교를 통한 지역사회 전파의 가능성을 이스라엘이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우리가 만약에 전면 등교할 거면 지금보다는 훨씬 더 강력하게 인력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행동을 주의하게 해야 한다. 또 학원 통제를 못 하면 전혀 불가능하다. 그런 부분까지 다 고려해서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