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임진강 도래지·세종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이윤정 기자I 2022.05.11 09:35:19

''임진강 도래지''…멸종위기종으로 보호 필요성
''세종 은행나무''…학술·경관적 가치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 임진강 두루미류 도래지’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위치한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이 된다.

문화재청 ‘연천 임진강 두루미류 도래지’와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2건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오는 12일 지정한다고 밝혔다.

연천 임진강 두루미류 도래지(사진=문화재청).
‘연천 임진강 두루미류 도래지’는 전 세계 생존개체(1만 1000여 마리) 중 우리나라에 약 6000여 마리가 월동한다. 그 중 약 1500여 마리가 연천 임진강의 자갈과 여울, 주변 농경지를 휴식지, 잠자리, 먹이터로 이용하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두루미는 예로부터 오래 사는 동물인 십장생의 하나로 수많은 동양화, 조각품, 수예품, 장식품은 물론 우리나라 500원 동전에도 새겨져 있다. 조선 시대 당상관들이 착용하는 관복의 흉배에 출세를 상징하는 의미로 두루미의 수를 놓는 등 역사·문화적 가치도 높다. 또한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의 적색자료목록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는 조류로 국제적으로 보존·보호의 필요성도 큰 동물이다.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사진=문화재청).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는 고려말 충신 임난수 장군(1342~1407)의 사당(현 숭모각) 앞에 심어진 은행나무로 부안임씨세보(1674)의 부조사우도에 은행나무 한 쌍과 행정에 대해 기록돼 있다. 충청도 공주목(1859)의 부조사우도(사당을 그린 그림), 연기지(1934)에도 은행나무에 관한 내용을 찾을 수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다.

또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노거수로서 기존에 단목으로 지정된 은행나무와는 차이점이 있다. 유교 문화와 관련된 행단의 좌우 대칭으로 심는 전통 재식방법과 전월산 자락의 숭모각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까지도 부안임씨 후손들이 매년 은행나무 목신제를 지내고 있는 등 학술·경관적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 3월 지정 예고 후 기존 명칭(세종 세종리 은행나무)을 역사적 가치와 임난수 장군과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세종시의 명칭 변경 요청에 따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라는 명칭으로 지정키로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