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텐마인즈 ‘AI 모션필로우’ 1020사용자 코골이 시간 51% ‘뚝’

김영환 기자I 2024.05.28 10:52:51

청소년 코골이, 주간졸림증·ADHD 유사 행동 유발… 적극적인 관리 필요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텐마인즈는 자사 제품 ‘AI 모션필로우’를 활용한 1020세대의 코골이 시간이 51%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진=텐마인즈)
텐마인즈가 AI가 학습을 완료한 30대 미만 사용자 데이터 1893건을 분석한 결과 AI 모션필로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평균 76분이던 코골이 시간이 제품을 사용 이후 평균 37분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골이 시간이 51% 이상 감소한 것이다.

전연령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모션필로우 사용자 테스트에서 집계된 평균 코골이 개선율인 44%를 뛰어넘는 수치로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 굿잠 점수 역시 평균 77점에서 85점으로 상승해 수면의 질이 월등히 높아졌다.

코골이는 잠을 자는 중 숨을 쉴 때 기도로 드나드는 공기와 연구개, 코, 목젖 등 연부 조직의 진동으로 인해 나타난다. 통상 나이가 들수록 근육의 탄성이 느슨해져 호흡기의 긴장이 유지되지 않아 코골이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에는 1020 세대부터 적극적으로 코골이 관리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텐마인즈는 그 배경으로 최근 늘어난 아동·청소년기 코골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꼽았다.

미국 뉴욕 몬테피오레 메디컬센터 아동병원 호흡기·수면의학과 라난 아렌스 박사 연구팀에 의하면 10대 청소년 98명의 뇌 MRI를 분석한 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53명의 경우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아이들과 뇌에 구조적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뇌에 대한 산소 공급을 반복적으로 방해하고 정상적인 뇌 발달과 기능에 필요한 깊은 회복 수면의 기회를 빼앗는다고 설명했다. 주간졸림증, 피로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AI 모션필로우 관계자는 “숙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학생 시절부터 적극적으로 수면을 관리하는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