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임산부 잇몸질환, 임신중독증·조산에도 영향"

장종원 기자I 2013.10.10 10:32:25

호르몬 변화, 잦은 식사로 잇몸질환 발생가능성 높아
"간식섭취·구토 후에는 칫솔질이나 물로 입안 행궈야"

[이데일리 장종원 기자] 임신 5개월에 접어드는 임산부 A씨(용산구, 33세)는 임신 초 입덧으로 인한 잦은 구토와 소화불량 등으로 고생이 많았다. 하지만 그보다 더욱 고통스러운 것은 잇몸질환이었다. 어느 날 부터인가 잇몸이 붉어지고 피가 나기도 했으며 입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났다. 입덧이 심해 칫솔을 입안에 넣는 것도 힘들었고 임신 중에는 치과치료를 함부로 받으면 좋지 않다는 말에 그저 참을 수밖에 없었다.

임산부는 잇몸질환에 쉽게 노출된다. 임신성 호르몬의 분비와 타액 성분의 변화, 입덧으로 인한 잦은 식사와 구토로 인해 구강질환이 잘 발생한다.

임신기는 염증에 대한 감수성 증가로 임신성 치은염 발생이 잦고 심하면 임신성 종양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특히 잇몸질환은 증상이 심해지면 임신중독증과 같은 질병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고, 조산이나 저체중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증진재단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의 2명 중 1명은 치주질환의 원인 중 하나인 치석을 제거하기 위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구치우식(충치) 유병률은 19~29세 35.3%, 30~39세 34.1%이며, 영구치우식 경험률은 19~29세 93.7%, 30~39세 91.6%로 나타났다. 가임여성 10명 중 9명은 최소 하나 이상의 충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가임기 여성의 구강검진율은 약 20%로, 건강검진수진율 약 30%에 비해 낮은 편이다. 건강증진재단 관계자는 “건강검진과 더불어 임신 전 구강검진을 통해 사전에 구강질환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산부는 잇몸병 예방을 위해 하루에 두 번 이상 잇몸에서 치아쪽으로 철저하게 칫솔질을 해야 한다. 치실과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임신기 잦은 간식은 충치 발생의 위험요인이기 때문에 간식을 먹으면 바로 칫솔질을 하거나 물로 헹궈야 한다. 입덧으로 구토를 한 경우도 위산에 의해 치아부식증을 유발할 수 있어 즉시 물로 헹궈내야 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