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文대통령, 조현병 환자 같은 생각"..'일방적' 볼턴 회고록 파문

박지혜 기자I 2020.06.22 09:27:11
[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판도라 상자 같은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이 열리면서 대북 외교 관련 다양한 뒷이야기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을 조현병 환자(schizophrenic)라고 비유하는 등 원색적인 표현이 쓰여 파장이 예상된다.

볼턴 전 보좌관은 오는 23일(현지시각) 출간되는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난’ 방에서 ‘행동 대 행동’ 즉, 북한의 단계적 비핵화 방식 관련 한국 정부에 대한 견해를 비판하며 이 같은 표현을 썼다.

그는 “지난해 2월 하노이 2차 미북 정상회담이 결렬되고 며칠 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문 대통령의 ‘조현병 환자 같은 생각’을 전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미국이 “북한의 ‘행동 대 행동’ 제안을 거절한 것은 옳았다”고 하면서도 “영변 핵 시설을 해체하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지는 아무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북한이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 단계에 접어든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볼턴 전 보좌관은 김 위원장의 영변 해체 제안에 대해 “명확히 정의된 적 없다”며 “나한텐 ‘행동 대 행동’과 아주 유사하게 들렸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영변 해체 제안 자체가 ‘행동 대 행동’인데, 문 대통령이 그에 대해 반대하면서 영변 해체 제안은 높게 평가한 것을 비판한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사진=AFP)
이 밖에도 볼턴 전 보좌관은 600쪽 분량의 회고록에서 지난해 6월 말 판문점에서 이뤄진 남·북·미 정상 회동 당시 문 대통령의 참여를 미북 모두 원치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회고록 내용에 대해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은 “극우파 중에서도 초강경파라고 할 수 있는 볼턴 전 보좌관의 일방적 주장이 되게 많이 담긴 것 같다”고 봤다.

조 위원은 22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이같이 말하며 “흐름 자체는 (볼턴 전 보좌관이) 실무자로 참가했기 때문에 자체가 거짓말이라고 볼 수 없지만 그것이 평가하는 내용들, 우리가 볼 때는 어떤 얘기가 논의됐다 이런 건 관계 없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떤 의도를 갖고 말했다 라든지 또는 문 대통령, 김 위원장이 이런 모습을 보였다, 이런 주관적은 평가 부분은 굉장히 조심해서 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어 “미국의 극우파 중에서도 초강경파인 볼턴의 시각에서 본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그대로 받아들였다간 상당히 불필요한 오해의 소지를 낳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조 위원은 볼턴 전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숙지 여부나 능력에 대해 낙제점을 주고 있는 내용에 대해선 “사실과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조 위원은 “대통령이라는 직위는 전체적 정보를 다 받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스타일이나 말하는 습관, 스타일들이 좀 문제가 있고 우리가 볼 때 굉장히 거친 건 사실이지만 대통령 되는 분이 더군다나 미국의 대통령이 그런 사실 파악을 잘 못하거나 커다란 그림 없이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볼턴이 만약에 그런 얘기한다면 사실 그분 자체가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오히려 그걸 보좌하는 역할이 본인의 역할이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이제와서 자기가 해임됐다고 해서 보복성으로 얘기하고 또 대통령을 의도 자체를 자기가 일방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저는 미국 관리로선 굉장히 옳지 않은 태도였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미국 언론에서는 볼턴 회고록을 근거로 해서, 그렇지 않아도 트럼프 대통령이 밉고 지금 또 대선 과정이 있기 때문에 반(反) 트럼프 캠페인을 크게 이용하는 것 같다”며 “그런데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서 모든 걸 다 할 수 있는 사람이긴 하지만 이분이 갑자기 한반도 문제에서 초강경으로 돌아서거나 이번 그 볼턴의 회고록 때문에 그런 자세를 취할 것 같진 않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 법무부는 볼턴 전 보좌관 회고록의 출간을 막아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지만 기각돼 예정대로 출간을 앞두고 있다. 이미 보도가 대거 이뤄져 실익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법원은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해 회고록 수익 환수 등의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볼턴 전 보좌관은 출판에서 앞서 200만 달러(약 24억 원)의 선인세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