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탄소중립·산림자원 선순환 경제, K-산림교육으로 배운다

박진환 기자I 2022.10.24 09:56:15

국립산림과학원, ‘한국형 산림교육 표준지침’ 개발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국립산림과학원은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한국형 산림교육 표준지침’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지침은 최근 산림 부문의 탄소중립과 산림자원 선순환 경제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개발이 진행됐다. 2011년 제정한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서 산림교육에 관한 내용을 규정했지만 교육과정에 따른 체계적 구성이 아닌 필요에 따라 콘텐츠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교육 현장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번에 개발한 산림교육 표준지침은 학교급에 따른 구체적 교육목표·내용 및 지도 방법을 수립함과 동시에 아동·청소년의 인지발달을 고려한 성취기준을 마련, 산림교육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유치원은 산림과 친해지는 과정, 초등학교는 기초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 중학교는 산림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과정, 고등학교는 지속가능한 산림을 위해 실천하는 과정으로 학교급별 기준을 마련했다.

영역별 기준에서는 산림생태계 구성과 그 상호작용을 학습하고, 숲의 문화와 숲이 주는 혜택을 통해 산림과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며, 숲을 보는 관점과 지속 가능한 산림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하시연 박사는 “기존 산림교육은 교사 또는 산림교육전문가의 개인 역량에 따라 내용과 교육 방향이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면서 “산림교육 표준지침이 많이 활용돼 학생들이 산림자원의 가치를 올바르게 학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수업주제로 고민하는 교사와 산림교육전문가를 위한 산림교육 표준지침은 안내용 책자 형태로 제작·배포할 예정이며,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전자파일로 받아볼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