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토부 "용산어린이정원 안전성 문제 없어…환경기준 충족"

박종화 기자I 2023.05.07 18:55:35

야당·환경단체 우려에 "근거 없는'오염 괴담'"
"3차례 안전성 검증 결과 일반 어린이공원만큼 안전"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옛 미군기지 자리에 조성된 용산어린이정원를 향한 안전성 우려에 국토교통부 등이 안전성엔 문제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윤석열 대통령 내외가 4일 용산어린이정원 개방 기념 식수를 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토부와 환경부는 7일 보도자료를 내고 “용산어린이정원에 대해 3차례에 걸쳐 환경 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모두 일반 어린이공원만큼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미세먼지와 중금속(납·비소·구리·아연), 휘발물질(벤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 농도 등을 모니터링했지만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변 지역과 유사하거나 환경 기준을 충족했다는 게 정부 검증 결과다.

용산어린이정원은 옛 용산 미군기지 자리에 조성된 30만㎡ 넓이 공원으로 4일 문을 열었다. 용산공원 부지 가운데 공원화를 마치고 상시 개방되는 건 용산어린이정원이 처음이다.

용산어린이정원 개방을 앞두고 야당과 환경단체 등에선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과거 용산공원 부지에서 독성 물질이 검출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환경단체 녹색연합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외국 군대(미군)는 120년 동안 그 땅을 각종 유해물질로 더럽혔고 정부는 그 군대에게 오염 책임을 묻지도 않고 반환받은 채 정화조차 하지 않고 시민들에게 개방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우선 방문객이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피복(흙 등으로 덮는 것) 유해성 저감 조치를 하고 용산기지 부지가 완전 반환된 후 정화에 들어간다는 정부 계획을 비판하고 있다. 녹색연합 등은 저감 조치를 해도 노약자 등은 오염물질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에 국토부 등은 “다이옥신이 발견된 일부 지역은 개방에서 제외했으며, 벤조피렌은 콘크리트로 완벽히 차단하였고, 이외 다른 물질이 발견된 지역 역시 개방 동선에서 제외하거나 아스팔트·산책로·식생매트 등으로 철저하게 포장했다”고 반박했다. 또한 “온 국민의 휴식공간과 소통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중한 땅을 근거 없는 오염 괴담으로 불안감을 조장하여 기약 없이 닫힌 채로 두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고 공격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