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매달 10만원도 벅차".. 연 10% 이자 포기하는 청년들

송주오 기자I 2024.01.25 10:14:58

강민국 의원실 집계…20만원 미만 납입자 해지율 58%
"대선용 정책 상품으로 높은 중도해지율 예견된 일"
"現 청년도약계좌, 자산형성 도움되도록 점검해야"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문재인 정부 당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의 중도해지율이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 동안 납입하면 연 10%의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이를 포기하는 가입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고물가 여파로 생활비에 부담이 늘어난 청년들이 매달 수십만원씩 저축하는 데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게티이미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2022년 2월 최초 가입자 수는 289만 5043명이었으나 2023년 12월 말 현재 중도 해지자 수는 무려 86만 1309명으로, 중도 해지율이 29.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희망적금의 중도 해지율은 꾸준히 상승해왔다. 상품 출시 첫해인 2022년 6월 6.7%, 2022년 9월 11.4%, 2022년 12월 16.6%를 기록했다. 2023년 3월에는 21.1%로 20%를 넘겼다.
납입 금액대별 중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 해지율이 58.4%(가입 21만 6591명·해지 12만 6434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이 57.9%(가입 19만 4956명·해지 11만 2919명),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51.2%(가입 18만 7270명·해지 9만 5851명) 등의 순이다.

중도 해지율이 가장 높은 가입 연령대는 만 19세로 해지율이 무려 33.8%(가입 1만 8352명·해지 6203명)에 달하였으며, 해지율이 가장 낮은 연령대는 만 34세로 27.0%(가입 14만 8784명·해지 4만 198명) 수준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중도 해지율이 33.3%(가입 112만 7563명·해지 37만 5450명)로 여성 21.6%(가입 176만 7480명·해지 48만 5859명)보다 높았다.

강민국 의원은 “청년희망적금은 대선 1달 전 출시 당시 여당 후보였던 이재명 대표의 요구로 가입 제한을 사실상 없애는 등 가입 자격 형평성 논란으로 청년층 표심을 겨냥한 대선용 정책 금융상품이었기에 중도해지율 30%는 사전에 예견된 일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정부 인센티브 및 만기 유연성 제고 등의 유인책을 발굴하여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