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오세훈 "韓 절체절명 위기…저출생 해결 골든타임 안 놓칠 것"[ESF2024]

공지유 기자I 2024.06.19 10:40:32

오세훈 서울시장, 이데일리 전략포럼 축사
"합계출산율 매년 최저점…국가 소멸 걱정해야"
"예비양육자 포괄하는 '탄생응원 프로젝트' 추진"
"이민사회·고령화 대응…종합적 정책 갖출 것"

[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벼랑 끝까지 몰린 저출생 문제 해결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19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인구위기…새로운 상상력,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열린 제15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노진환 기자)
오 시장은 이날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인구위기…새로운 상상력,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열린 제15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매년 최저점을 갱신하며 국가 소멸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절체절명의 위기를 표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2022년부터 양육자 부담을 덜고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4대 부문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며 “올해부터는 양육자는 물론 청년, 신혼부부, 난임부부 등 예비양육자까지 포괄해 출산, 육아, 돌봄뿐 아니라 주거나 일·가정 균형 등 근본적 문제까지 지원하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지난달에는 신혼부부가 아이 낳을 결심을 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주거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자녀 수에 따라 주거 기간을 10년에서 20년으로 늘리고 시세보다 최대 20%까지 저렴하게 집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신혼부부 장기전세주택 확대 방안도 발표했다”며 “앞으로 큰 효자 노릇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오 시장은 또 “인구 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변곡점이 될 이민사회 또한 사회적 공감대 하에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가고 있다”며 “오는 2050년이 되면 서울 인구가 800만명 수준까지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있는 만큼 서울시 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이런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서울 외국인 주민 정책 마스터플랜을 발표했고, 7월부터는 외국인 정착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 조직인 ‘글로벌 도시정책관’을 신설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고령화로 인한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세대 맞춤형 일자리를 확대하고 외부 인력을 적극 유치하는 등 인구 감소 속도를 최대한 늦추는 동시에 축소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종합적 제반 정책을 선제적으로 갖춰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15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 9개월 아기부터 90세 노인까지…“인구문제에 老少 없다”[ESF2024] - 저출생 문제해결, '쿨하면서 통 크게'…기업·경영진 솔선 핵심[ESF2024] - 저출생·고령화 '수축경제' 시대, 헤쳐 나갈 해법은[ESF2024]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