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보통신전략위] 스마트미디어로 일자리 11만개 창출

김유성 기자I 2014.12.05 11:00:00

정부, 스마트미디어 육성 통해 세계 시장 주도한다는 포부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정부는 스마트미디어 육성을 통해 2020년까지 일자리 10만8000개를 창출하고 시장 규모는 현재 대비 6배인 13조6000억원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은 국내 방송산업 발전을 위해 ‘스마트미디어 산업 육성 계획’을 공동으로 마련해 발표했다.

대표 스마트미디어로 손꼽히는 디지털 사이니지. 미래부 제공
방송과 통신의 융합, 유무선 인터넷·스마트 기기 확산 등에 따라 등장한 스마트미디어는 방송과 정보통신(ICT) 시장의 성숙 포화 이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본과 유럽 등도 스마트미디어의 등장을 각국의 새로운 성장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정부는 이번 종합 계획의 비전을 ‘세계 최고의 스마트미디어의 강국’으로 설정하고 5대 전략 16개 과제를 제시했다.

목표는 ‘국민을 행복하게 하는 스마트미디어 서비스’,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스마트미디어 산업’, ‘스마트화를 통해 도약하는 방송산업’ 3개로 설정했다.

구체적인 추진 전략으로 글로벌 미디어 벤처 육성, 이머징 미디어 성장기반 강화, 미디어 인프라 연구개발(R&D) 선도적 추진, 미디어 생태계의 상생·개방화, 융삽산업에 대한 제도화 방향 마련까지 5가지다.

글로벌 미디어 벤처 육성을 위해 정부는 1494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우수 미디어 벤처 기업을 육성하고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인·중소 벤처 등에 대해 ‘아이디어 제안, 개발, 상용화 및 유통단계’에 이르는 창업 전주기에 대한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스마트광고, 디지털사이니지, 실감 미디어 등 새로운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이머징 서비스 강화를 위해 정부는 769억을 지원한다.

또 정부는 2020년까지 1418억원을 투자해 스마트미디어 5대 기반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기술·산업과 스마트미디어와의 융합 및 응용 서비스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정부는 이 기술을 토대로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올림픽 개인방송 서비스’, ‘동계올림픽경기 종목 실감체험 서비스’ 등을 시범 실시한다.

미디어 생태계 상생 개방화를 위해 정부는 460억원을 투입하고 합법적인 콘텐츠 유통 활성화로 콘텐츠 생산자의 수익성을 높인다. 개방형 TV플랫폼 및 콘테느 관리 정보를 표준화해 생태계 통합도 촉진한다.

스마트미디어 성장 동력 강화를 위해 OTT(Over the Top) 같은 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최소화한다. 투자 촉진을 위해 ‘진흥법’ 제정 등 진흥 위주의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

정부 측은 “스마트미디어 육성 사업을 통해 시장 규모는 올해 2조7000억원에서 2020년 13조6000억원으로 고용 창출은 13만4000명까지 늘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