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JW중외제약, 탈모약 '아보다트' 알약 형태로 개발

강경훈 기자I 2018.03.12 09:40:44
JW중외제약이 개발한 알약형 두타스테리드. 두타스테리드는 물에 잘 녹지 않아 원 개발사인 GSK도 연질캡슐만 내놓고 있다.(사진=JW중외제약 제공)
[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JW중외제약(001060)이 전립선비대증 탈모치료 성분인 두타스테리드를 기존 연질캡슐이 아닌 알약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오리지널약은 GSK의 아보다트인데 연질캡슐형태였다. 두타스테리드 성분 자체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이다. 경쟁약인 MSD의 프로페시아는 알약이나 연질캡슐 등 다양하게 제형이 변했지만 아보다트는 오리지널이건 제네릭이건 모두 연질캡슐형태였다.

연질캡슐은 입안이나 식도에 달라붙을 수 있고 캡슐 피막이 찢어지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연질캡슐약은 복합제 개발이 쉽지 않다.

JW중외제약은 제제원료연구센터가 보유한 기반기술인 난용성 약물전달시스템인 SMEDDS를 적용해 물에 잘 녹지 않는 약물을 가용화해 체내 흡수를 빠르게 했다.

회사 측은 두타스테리드를 알약으로 개발함에 따라 전립선비대증 1차 치료제인 알파차단제와의 복합제 개발이 쉬워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GSK의 복합제는 아보다트 연질캡슐 안에 알파차단제 캡슐을 넣은 형태였지만 알약으로 하면 쉽게 복합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JW중외제약은 알약형 두타스테리드에 대해 지난해 9월 국내 특허출원을 마쳤으며 국내에는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다국적제약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상준 JW홀딩스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이번에 개발한 두타스테리드 알약은 단기간에 상용화가 가능하며 캡슐 형태와 비교해 부가가치가 높다”며 “특히 고온다습한 나라에서는 연질캡슐보다 알약 형태의 수요가 높은 만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