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결선투표제' 도입..경선전 '뜨거운 감자'로 부상

이승현 기자I 2018.03.25 16:32:21

서울·경기 2·3위후보 도입 요구..중앙당 '잡음날까' 부정적
2·3위 후보 '막판 뒤집기' 노릴 수 있어 절실
지도부 "경선이 곧 본선..무리할 필요 없어"
우상호 "당이 너무 개입하는 것 아니냐" 불만
2·3위 후보 지지율 격차 얼마나 좁힐지가 관건

지난 17일 오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자치분권개헌 국민대토론회’에서 광역자치단체장 예비후보들이 모여 토론회를 경청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남춘 인천시장 예비후보, 전해철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우상호 서울시장 예비후보, 박원순 서울시장 예비후보, 홍미영 인천시장 예비후보, 박영선 서울시장 예비후보, 양기대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에서 ‘결선투표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경선 흥행을 위해선 도입하는 게 좋겠지만 중앙당 지도부는 잡음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로 주저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와 경기도 등 대중주목도가 높은 지역에서 이같은 요구가 나오면서 지도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민주당의 서울시장 경선에 참여한 박영선·우상호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각각 기자간담회를 열고 결선투표제 도입을 재차 요구하고 나섰다.

우 의원은 “(결선투표제 도입에) 박 시장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고, 박 의원 역시 ”결선투표제에 대해선 우상호 의원과 공동의견서를 제출했고, 경기도에서도 전해철 의원과 양기대 시장이 제안, 이를 이재명 시장이 동의했다“며 제도 도입에 대한 희망을 드러냈다.

결선투표제는 경선 후보들 중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얻는 후보가 없을 경우, 1·2위 후보가 결선 투표를 통해 최종 승자를 가리는 방식이다. 최종 당선자가 과반 이상의 지지를 확보, 대표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또 2·3위 후보들이 결선투표에서 ‘막판 뒤집기’를 노려볼 수 있다는 점에서 경선의 관심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실제 민주당은 지난해 펼쳐진 19대 대선후보 경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한 바 있다.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 모두 각각 박원순 현 시장과 이재명 전 성남시장이 견고한 지지율로 1위를 달리고 있어 2·3위 후보 입장에선 결선투표제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우 의원은 “선거는 재미와 감동이 있어야 한다. 서울시와 경기도 등 주요 지역에서 결선투표제를 통해 선거가 흥행하면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앙당은 다른 판단을 하고 있어 후보들과의 갈등이 예상된다. 여당의 압승이 예상되는 이번 지방선거는 흥행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한 여당 관계자는 “당 지도부는 이번 지방선거를 최대한 차분하게 준비한다는 기조를 갖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과 당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 무리하게 경선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당내 분란 없이 조용히 경선을 치루고 후보를 결정해도 본선 승리에 문제가 없을 것이란 판단이다. 이에 따라 결선투표와 1·2차 경선 도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이다.

또 결선투표 도입을 요청하는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우 1위 후보와 2,3위 후보간 격차가 커 결선투표 도입이 불필요하다는 판단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위 후보의 지지율이 압도적일 경우 1차 투표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를 받아 결선투표가 진행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선후보 경선 역시 문재인 후보가 1차 투표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으며 곧바로 최종 후보로 결정됐다.

다만 예비후보들이 2인 경선을 요구할 경우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나머지 후보를 컷오프해 사실상 결선투표 효과를 내겠다는 입장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해당 후보들은 반발하고 있다. 우 의원은 “선거는 흥행과 감동을 주는 것이 중요한데 당이 너무 개입하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내일(26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결선투표제 관련 거론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서울과 경기에서 후보들의 요구가 있는 만큼 지금까지와는 다른 논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관건은 2·3위 후보들이 경선룰을 정하기 전까지 지지율을 얼마나 끌어올릴 수 있을지 여부다. 지지율 격차가 좁혀질 경우 결선투표에 대한 요구에 힘이 실리기 때문이다. 이에 박영선·우상호 의원은 최근 연일 주요 공약을 발표하고 박 시장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높이며 지지율 높이기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