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인사에 감동 더합니다" 카톡 대신 연하장 쓰는 사람들

이슬기 기자I 2017.12.31 18:48:47

SNS시대, 직접 쓴 연하장 새해인사 여전
직장인 46%은 연하장으로 새해인사 전해
"보내는 사람의 마음은 디지털 시대도 이어질 것"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마련된 연하장 코너에서 시민들이 연하장을 고르고 있다.(사진=이슬기 기자)
[이데일리 이슬기 기자] 인테리어 디자이너 이지연(28·여)씨. 이씨는 올 한해 자신에게 인테리어를 맡겼던 고객 14명에게 직접 손으로 쓴 연하장을 보냈다.

이씨는 “고객들에게 ‘새해 우리가 디자인한 집에서 행복하게 사시라’는 내용의 연하장을 일일히 손으로 써서 보냈다”며 “연하장을 받은분들이 손으로 직접 쓴 연하장은 정말 오랫만에 받아본다며 감동했다고 하더라. 몇몇 분들은 주변에서 인테리어 공사를 해야할 사람이 생기면 연락을 주겠다고 약속하시기도 했다”고 웃었다.

◇직접 쓴 새해인사 전하려는 움직임 여전

SNS 등을 통해 새해 인사를 건네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손수 쓴 연하장을 보내는 시민들도 적지 않다. 선물 대신 손수 쓴 카드와 연하장 등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서다.

노인문화센터에서 어르신들의 영어강의를 맡고 있는 이모(54·여)씨는 수강생들을 위한 연하장을 쓸 예정이다. 이씨는 “강의를 하다보면 어르신들이 김치나 먹을 것들을 주면서 많이 챙겨주신다. 보답할 게 마땅찮아 고민 끝에 마음과 정성을 담아 직접 쓴 연하장을 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점규(67·여)씨는 2년째 캐나다에서 생활 중인 딸과 외손자를 위해서 연하장을 보낼 예정이다. 이씨는 “평소 SNS를 통해 연락을 주고받긴 하지만 휴대폰을 잘 다룰 줄 몰라 메시지를 늦게 확인할 때도 많다”며 “올해는 손으로 쓴 연하장과 몇가지 선물을 같이 보낼거다. 받아보고 기뻐할 손자의 모습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교보문고 핫트랙스 관계자는 “광화문점만 해도 연하장 판매 공간을 따로 마련해 놓고 약 500가지 종류의 연하장을 판매하고 있다”며 “예년에 비해 찾는 고객이 줄기는 했지만 손수 연하장을 쓰려는 고객들이 적지 않아 26, 27일 이틀만에 1만 장 가까이 팔렸다”고 전했다.

◇SNS 메세지보다 진정성 느껴지는 연하장 선호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7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46.2%는 여전히 연하장을 통해 새해 인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메신저를 통해 새해 인사를 건네는 사람이 52.1%로 가장 많았지만 근소한 차이로 연하장이 2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전화통화를 통해 새해 인사를 하는 사람은 30.4%이었고 △SNS(23.1%) △대면 인사(21.8%) △문자메시지(20.3%)가 그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이 꾸준히 연하장을 보내는 이유로 진정성을 꼽는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요즘엔 명절이나 연말연시에 SNS를 통해 정성을 들이지 않고 대량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 사람들이 디지털 메시지에 지친 경향이 있다”며 “손 편지는 몇 자 쓰지 않아도 훨씬 따뜻하게 다가오고 보내는 사람의 진정성이 느껴져서 SNS가 아닌 연하장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