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홍콩ELS' 손실률, 지수 반등에 40% 아래로

김국배 기자I 2024.06.09 18:08:48

6개 은행 5월 손실액 4700억…손실률 37% 수준
지난 4월보다 9%p 떨어져…H지수 향방에 촉각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SC제일은행 등 6개 은행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률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지난달 40% 아래로 떨어졌다. 홍콩H지수가 오랜만에 부진을 벗어나 회복세를 보인 덕이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6개 은행에서 발생한 홍콩H지수 ELS 손실액은 4748억원으로 손실률은 약 37%를 기록했다. 만기가 된 원금이 1조 2907억원이었는데 이 중 8159억원이 고객에게 상환했다.

여전히 손실액이 컸지만 지난 4월 만기를 맞은 고객과 비교하면 손실률이 상당히 떨어졌다. 만기 물량이 대거 몰려 있던 4월 6개 은행의 손실액은 1조 1246억원으로 손실률도 약 46%에 달했다. 올해 1~2월엔 손실률이 53~54%를 찍기도 했다. 올해 3년 만기가 되는 ELS는 2021년에 가입한 것이다.

5월 손실률이 줄어든 것은 그달 H지수가 가파른 회복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H지수는 5월에 들어서자마자 6500대를 돌파하더니 20일엔 6964.99포인트까지 올랐다. 연중 최저치였던 1월 22일(5001.95)에 비해 39%가량 오른 것이다. 중국판 밸류업, 내수 부양책 등의 효과였다. 뒷심을 발휘하지 못하고 5월 말 다시 6300포인트 후반까지 떨어지긴 했지만 전월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H지수는 2021년 초 1만 포인트 안팎에서 오르내리다 그해 2월 17일 1만 2228.63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3년간 내리막길을 걸었다.

은행권에선 2021년 하반기엔 H지수가 1만선 이하에서 움직였기 때문에 H지수가 6500선을 유지하면 8월부터는 손실이 나지 않으리라 내다보고 있다. 다만 2021년 상반기에 H지수(1만~1만 2000선)가 높았고 만기 도래 물량도 더 많아 상반기에 H지수가 빠르게 올라줘야 손실 폭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지난 7일 H지수는 전날보다 0.68% 떨어진 6510.37포인트로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은행들은 금융당국이 제안한 분쟁 조정 기준안에 따라 가입자와 자율 배상 합의를 이어나가고 있다. KB국민, 신한은행 등 5대 은행의 합의 건수는 5000건을 넘었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까지 3569건의 배상을 마쳤다. 신한은행에선 지난 5일까지 1897건의 합의가 이뤄졌고 NH농협은행도 같은 날 기준 770건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하나은행은 합의 건수를 밝히진 않았지만 “이달 중 3000여 건의 배상 합의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