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석 달 연속 ‘경기둔화’ 진단…“수출·설비투자 부진”

조용석 기자I 2023.04.14 10:08:21

기재부, 경제동향 4월호…“제조업 중심 경기둔화 지속”
3월 수출, 전년 대비 13.6% 감소…2월 반도체 생산 17.1%↓
취업자수 증가폭 둔화세 멈췄으나 제조업 고용 ‘뒷걸음질’
“세계경제, 상방·하방 요인 혼재…불확실성 지속”

[세종=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정부가 경제 상황에 대해 석 달 연속 ‘경기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도체 수출 부진 등 제조업이 여전히 반등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다만 소비(내수)는 대면 활동 중심으로 완만히 회복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부산 남구 신선대(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사진 = 뉴시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 우리 경제는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는 대면활동 중심으로 완만히 회복하고 있으나 수출·설비투자 부진 등 제조업 중심의 경기둔화 흐름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월 처음으로 ‘경기 흐름이 둔화됐다’고 공식 인정한 정부는 지난 달에 이어 이달까지 3개월 연속 같은 진단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는 ‘경기 둔화 우려’, 1월에는 ‘경기 둔화 우려 확대’로 언급하며 위기 진단 수위를 올렸다.

3월 수출은 전년 대비 13.6% 감소한 551억 2000만 달러로, 15대 주요 품목 중에서는 2개(자동차·2차전지)를 제외한 13개 품목이 모두 감소했다. 한국경제의 성장동력인 반도체는 전년 대비 35% 감소했고, 무선통신(-42%), 컴퓨터(-58%)도 수출 규모가 크게 줄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3월 일평균 수출은 2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7.2% 감소했다.

특히 지난 2월 반도체 생산은 직전 달보다 17.1% 감소, 금융위기 시기였던 2008년 12월(-18.4%)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41.8%나 감소한 것이다. 또 반도체 부진의 여파로 제조업 생산도 전월보다 3.1% 줄었고, 같은 기간 광공업 생산도 3.2% 줄었다.

3월 고용은 취업자수가 전년 대비 46만9000명 증가, 취업자수 증가폭이 10개월 만에 둔화에서 확대로 전환했다. 실업률은 2.9%로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 하락하는 등 견조한 흐름이 이어졌다. 다만 노인층(60대 이상)을 빼면 신규 취업자수는 오히려 7만8000명이나 감소하는 등 ‘고용의 질’을 보여주는 세부 지표들은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급여가 높고 안정적인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제조업 분야의 취업자는 전년 대비 4만9000명 감소하면서 지난 1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침체 됐던 내수소비는 대면활동 중심으로 다소 회복세를 보였다. 2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소매 판매지수(계절조정)는 108.4로, 지난해 11월(-2.3%), 12월(-0.2%)에 이어 올해 1월(-1.1%)까지 내리 감소하다가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소비자심리, 기업심리 실적, 전망 등 심리지수도 모두 상승했다.

정부는 대외 상황에 대해서는 상방과 하방위험이 교차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중국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화 긴축에 따른 취약부문 금융불안과 러-우크라 전쟁 장기화 영향 등 하방위험이 교차하며 세계경제 불확실성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