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중국, 단오절 보복소비 효과 미미…관광수입 12%↓

신정은 기자I 2022.06.06 14:59:56

中단오절 관광객 7961만명, 전년비 10.7%↓
지역간 이동 제한…청명절·노동절보단 개선
캠핑 상품 각광…호캉스·단거리 여행 인기

[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 중국에서 강력한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집하면서 명절 연휴인 단오절(3~5일)에도 관광 소비가 살아나지 못했다.

단오절 연휴인 4일 중국 상하이에서 한 여성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AFP
6일 중국 신문망에 따르면 중국 문화여유부는 올해 단오절 연휴 중국 내 관광객 수가 연인원 기준 7961만1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과 비교해서는 86.8% 수준이다.

단오절 중국 내 관광수입은 12.2% 급감한 258억 2000만위안(약 4조 8557억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같은 기간의 65.5% 수준에 그쳤다.

중국의 많은 도시가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지역간 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영향이 컸다. 상하이시도 1일부터 봉쇄를 해제했지만 여전히 타 지역간 이동 도로는 차단하고 있다. 또 자칫 도시를 벗어났다가 해당 지역이 통제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큰 상황이다.

실제 베이징 거주 천 모씨는 단오절 연휴를 앞두고 항저우에 출장을 갔다가 코로나19 음성 증명서가 없다는 이유로 외출이 금지됐고,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동할 수 없었다.

다만 올해 상반기 춘제, 청명절, 노동절 등 연휴와 비교해서는 소폭 수치가 개선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도 나온다. 중국 연휴 관광 수입은 춘제(56.3%)를 제외하고는 청명절(39.2%), 노동절(44%) 모두 2019년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중국 각 지방 정부는 단오절 기간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구매 보조금 등을 공격적으로 제공했다. 예를 들어 쑤저우시는 시 전역에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1000개의 쇼핑몰·상업복합체를 만들어 할인판촉을 진행했고, 양저우시는 생필품과 자동차 구매 등에 사용할 수 있는 1300만 위안의 쿠폰을 대거 방출했다.

중국 신문망은 “단오절을 앞두고 각 지방에서 문화와 관광이 살아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들이 속속 나왔다”며 “어린이용 상품, 캠핑 상품 등이 시장의 각광받고 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자들의 여행 반경과 주기가 짧아지면서 ‘호캉스’, ‘단거리여행’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