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고물가에 대형 에어컨 ‘찬바람’…대세는 창문형 에어컨

김경은 기자I 2024.06.09 17:53:48

소비 심리 위축에 창문형 에어컨 수요 늘어
1인 가구·‘방방냉방’ 트렌드도 판매 부추겨
출하량 4년간 4만→70만대…시장 성장세
‘여관 에어컨’서 대기업도 파는 가전 대세로
파세코·귀뚜라미·쿠쿠홈시스 신제품 속속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고물가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창문형 에어컨’이 냉방 가전의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일반 에어컨보다 가격과 전기료가 저렴해 가계지출 부담을 낮출 수 있어서다. 수요가 커지면서 중소·중견기업이 주도하던 시장에 대기업도 뛰어들어 올여름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2024년형 귀뚜라미 창문형 에어컨. (사진=귀뚜라미)
9일 삼성스토어에 따르면 지난 4월 에어컨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20% 증가했다. 4월부터 한낮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소비자들이 예년보다 일찍 에어컨 구매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그중에서도 창문형 에어컨 판매량은 같은 기간 155% 급증했다.

창문형 에어컨 판매가 두드러진 건 고물가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또 1인 가구가 증가하며 소형 가전 선호도가 높아진 점, 방마다 냉방 가전을 따로 설치하는 ‘방방냉방’ 트렌드가 확산한 점 등도 창문형 에어컨 판매량을 끌어올린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2019년 국내 창문형 에어컨 출하량은 4만대에 불과했지만 2022년 50만대로 급증했다. 지난해엔 7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전체 에어컨 연간 출하량이 약 250만대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30%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셈이다.

과거 창문형 에어컨은 냉방 성능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강했으나 최근엔 고성능 제품이 속속 출시되며 냉방 가전 시장에서 비중을 키우고 있다. 특히 대기업들이 시장에 재진입하면서 중소·중견기업 위주로 전개되던 시장이 새 국면을 맞이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005930)LG전자(066570)는 각각 2021년, 2022년부터 창문형 에어컨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쿠쿠홈시스 24년형 인스퓨어 창문형 에어컨. (사진=쿠쿠홈시스)
중소·중견기업도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창문형 에어컨 시장 점유율 60~70%를 차지하는 파세코(037070)는 지난해 자가설치형 창문형 에어컨 ‘프리미엄2’와 ‘프리미엄 미니’ 2종을 선보인 데 이어 올해는 실내외 모두 사용가능한 ‘하이브리드 제습에어컨’을 출시했다. 창문형 키트를 구매하면 창문형 에어컨으로 캠핑용 키트 이용시 집 밖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귀뚜라미는 지난달 ‘2024년형 귀뚜라미 창문형 에어컨’을 선보였다. 기존 제품 대비 제습 성능을 75% 높인 제품으로 제습모드 가동 시 하루 최대 40ℓ까지 실내 습기를 제거해 준다. 새롭게 추가된 에코모드를 실행하면 실내 온도를 빠르게 낮춘 뒤 8시간에 걸쳐 서서히 바람 세기를 조절해 일반모드와 비교해 에너지를 60% 절감할 수 있다.

쿠쿠홈시스(284740)도 지난달 ‘24년형 인스퓨어 창문형 에어컨’을 출시했다. 냉방 성능은 기존 구형 모델의 2200W보다 향상된 2345W이며 에너지 효율성도 끌어올렸다. 취침모드로 작동 시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침실 소음 기준(35㏈)보다 낮은 31㏈의 소음만 발생한다.

업계 관계자는 “창문형 에어컨 초기 모델은 실외기 기능이 본체에 포함돼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나오는 신제품은 소음 문제를 대부분 해결했고 냉방 성능도 개선했다”면서 “과거엔 여관, 모텔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요즘엔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와 유지관리가 편하다는 점에서 가정 내 수요가 높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