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웹젠 ‘테르비스’ 타깃은…“‘유저씨’ 넘어 전연령대 공략”

김정유 기자I 2023.11.19 16:19:59

윤태호 웹젠노바 ‘테르비스’ PD 인터뷰
“‘덕후’ 진심 담은 서브컬쳐 게임 만들것”
인기 IP ‘뮤’처럼 장기 사랑받는 IP 목표

웹젠노바 천삼 대표(왼쪽)와 웹젠노바 윤태호 PD가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웹젠)
[부산=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뮤’처럼 장기간 사랑받을 수 있는 지식재산(IP) 제작이 목표다. 기존 웹젠의 ‘유저씨’(유저+아저씨)는 물론 더 넓은 연령대를 아우르는 게임을 개발하고 있다.”

윤태호 웹젠노바 ‘테르비스’ 프로듀서(PD)는 지난 17일 부산 벡스코 ‘지스타 2023’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테르비스’는 ‘하이클래스 2D 애니메이션’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덕후’의 진심을 담아 개발 중이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웹젠노바는 ‘뮤’ IP로 잘 알려진 웹젠(069080)의 개발 자회사다. 웹젠노바는 윤 PD를 포함해 애니메이션 ‘덕후’(일본어 오타쿠의 한국식 줄임말·마니아라는 의미)들이 뭉친 개발사다. 현재 수집형 RPG ‘테르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테르비스’는 대지를 뜻하는 라틴어 ‘테라’와 순환을 의미하는 ‘오르비스’의 합성어다. 에너지가 고갈되는 위기 속에 인간과 계약을 맺어 다양한 동료들과 ‘테르비스’를 구원하기 위한 모험담을 그렸다. 내년 출시가 목표다. MMORPG ‘뮤’ 이외의 인기 IP를 확보하기 위한 웹젠의 새로운 시도다.

윤 PD는 “애니메이션 작업은 생각보다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어서 해외 협력업체와 함께 제작하고 있다”며 “내년 여름 정도에는 출시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용자 피드백 반영에 따라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을 것 같다”고 했다.

‘테르비스’는 글로벌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 윤 PD는 “서브컬쳐 장르가 인기인 한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현재 개발 인력은 약 50명으로 비즈니스 모델(BM)은 캐릭터 뽑기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윤 PD는 “이용자들이 캐릭터에 몰입할 수 있는 BM을 고민했다”며 “재미와 만족도, 확률적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뽑기를 만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윤 PD는 이날 ‘테르비스’를 소개하면서 ‘덕후’와 ‘덕심’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개발진 모두가 트렌디한 애니메이션을 두루 접하며 덕심을 갖고 있다”며 “웹젠노바 자체적으로도 채용 단계부터 면접에서 덕심이 있는지를 중요하게 봤다”고 했다.

게임의 목표 성과에 대해선 “개발 중인 게임의 정량적인 목표를 말하긴 조심스럽다”면서도 “다만 단발성 프로젝트가 아닌 ‘뮤’처럼 장기간 사랑받을 수 있는 IP 제작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웹젠은 이번 ‘지스타’에서 ‘테르비스’를 포함해 ‘어둠의 실력자가 되고 싶어서’, ‘라그나돌’ 등 서브컬처 게임만으로 자사 부스를 꾸렸다. 수집형 RPG 이용자 증가 등 게임산업 트렌드에 맞춰 게임 개발 장르를 확대하기 위한 차원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