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취업준비 땐 ‘외환위기’ 40대 되니 ‘고용 쇼크’…고달픈 70년대생

김형욱 기자I 2018.08.19 17:17:34

청년·노인 일자리 중심 정부 정책서도 ‘소외’
정부 "40대 위한 업종별 맞춤 대책 마련할것"

40대 취업자 수 증감 추이. 통계청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조진영 기자] 취업준비 시기에 외환위기를 겪었던 1970년대생이 40대를 맞은 최근 ‘고용 쇼크’에 다시 한번 시름을 앓고 있다. 청년·노인 일자리를 중심으로 추진한 정부 정책에서도 소외돼 맞춤형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의 2018년 7월 고용통계 집계 결과 이 기간 만 40~49세(1970~1979년생) 취업자 수는 667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7000명이 줄었다.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감소이자 IMF 외환위기 당시의 1998년 8월(15만2000명 감소) 못잖은 수치다. 실업자 수(17만3000명)도 1년 전보다 3만9000명 늘었다. 1999년 8월 이후 최대 폭의 감소다. 수치상으론 취업대란이 한창인 20대보다 고용 환경이 더 나쁘다는 의미이다. 현 40대가 이번 ‘고용 쇼크’의 핵심인 셈이다.

인구 추이를 고려하면 40대가 처한 상황은 더 심각하다. 이 기간 청년층(15~29세)이나 30대의 취업자 수가 줄어들기는 했으나 해당 연령대 인구 감소보다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작았다. 인구 감소로 취업자 수가 자연스레 줄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40대는 유독 인구 감소보다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컸다.

70년대생의 비극으로 불릴 만한 상황이다. 이들 70년대생은 20대이던 1997~1998년 외환위기로 사회생활 초입부터 상황이 꼬여 안정된 일자리를 잡지 못한 ‘취업난 1세대’다. 이들이 20년이 지난 지금 다시 한국 경제의 희생양으로 전락한 모양새다. 1998년 20대 취업자 감소폭은 1월 44만명을 시작으로 꾸준히 늘어 7월 63만500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취업 이후에도 안정적인 상용직보다는 임시·일용직에 내몰렸다. 이들이 조선·자동차 같은 전통 제조업 구조조정 속에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빈현준 통계청 사회통계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형태별로 40대 고용감소를 보면 임시직 감소 영향이 가장 크다. 도소매 등 전 업종에 걸쳐 빠지고 있다”고 말했다.

40대의 고용 위기는 한두 달 된 문제가 아니다. 취업자 수가 2015년 11월 이후 33개월째 매달 줄었다. 특히 최근 들어서 감소 폭이 급격히 커지는 것뿐이다.

그러나 70년대생은 정부의 경제정책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현 정부는 지난해 집권 이후 두 차례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비롯해 58조원에 달하는 일자리 예산을 쏟아부었으나 대부분 청년 취·창업 지원과 노년층 일자리에 집중됐다. 나이 제한이 걸린 40대는 올 5월 추경에서의 각종 취·창업지원 대책도 ‘남의 떡’이었다. 오히려 고용불안 속 영세 자영업자·소상공인으로 전업한 40대는 최저임금의 가파른 인상 등에 따른 최근 자영업 구조조정의 파도를 넘지 못하고 있다.

정부도 부랴부랴 40대를 위한 맞춤형 대책 추진에 나섰다. 재정 투입 같은 단기 대책보다는 구조적 측면 분석을 통한 업종별 맞춤형 대책이 거론된다. 정부 관계자는 “40대 실업은 구조조정 같은 구조적 영향이 가장 컸다는 판단”이라며 “30~40대는 인구가 줄어드는 20대, 베이비붐 세대인 50대와는 다른 점을 고려해 업종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