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총리 "기후위기 적응해야…자원 총동원해 물관리 선제 대응"

이지은 기자I 2023.08.04 10:45:53

제9회 국가물관리위원회 주재…물관리 정책 논의
"하천시설 전반 연계…AI 홍수예보 체계 조기 도입"
금강·영산강 5개 보 해체·상시개방 재심의 예정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4일 “앞으로의 물관리 정책은 기후위기를 명백하고 현존하는 현실로 인식하는 바탕에서 가용 가능한 모든 데이터와 기술, 그리고 자원을 동원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총리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물관리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4대강 보를 포함해 국가 전체적인 물관리 문제가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구 온난화의 시대가 끝나고 지구 ‘열대화’의 시대가 시작됐다는 안토니우 쿠테흐스 UN 사무총장의 발언을 언급하고 “아주 무서운 경고”라고 했다.

이어 “이제 기후위기는 엄연히 현존하는 사실이며, 이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 것이냐가 중요한 문제가 됐다”며 “그중 가장 핵심이 물관리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겪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존의 물관리정책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획기적인 변화를 끌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정부는 국지적인 폭우와 극한 호우에 대비해 4대강 보를 포함한 댐 및 하굿둑, 제방 등 하천시설 전반을 연계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물관리를 하고, AI 홍수예보 체계를 조기에 도입하다”고 말했다.

또 “지역이 필요로 하는 중소규모의 댐 건설과 하천 준설 등 과감한 하천 정비를 추진하고, 홍수위험이 높은 하천의 안전기준을 500년 빈도 이상까지 탄력적으로 적용토록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 재검토에 관한 안건을 재심의한다. 앞서 위원회는 지난 2021년 1월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심의·의결하여 5개 보에 대하여 해체 또는 상시개방 결정을 내린 바 있다.

한 총리는 “감사원 공익감사 결과, 보 처리방안 마련 과정에서 불공정하고 불합리한 사항들이 다수 지적됐다”며 “오늘 환경부 장관 요청에 따라 재검토 안건을 논의하고 결과는 회의가 끝난 후 국민 여러분께 상세히 설명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