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세계관악대회·경기도체전 유치, 경기 광주시 도시 브랜드 높아졌다

황영민 기자I 2024.06.19 10:28:58

방세환 경기 광주시장 취임 2주년 기자회견
전국 기초단체 최초 베트남 주석 국빈의전 수행
7월 세계관악대회 2000여명 음악인 집결
2026 경기도종합체육대회, 경제효과 900억 이상 추산
52만 대도시 목표, 각종 인프라 확충사업도 박차

[경기 광주=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경기 광주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2024 세계관악컨퍼런스, 2026 경기도종합체육대회 등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며 지자체 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괄목할 성과를 거뒀다.

아울러 열악한 교통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용인시와 경강선 연장, 성남시와는 수서광주선·위례삼동선 추진 등 인접 지자체와 협력사업의 고삐를 조이고 있다.

19일 경기 광주시청에서 열린 민선 8기 2주년 기자회견에서 방세환 광주시장이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황영민 기자
방세환 광주시장은 19일 민선 8기 2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 8기 전반기가 시정의 힘찬 도약을 위한 바탕을 다지는 시기였다면, 후반기 2년은 그 동안의 계획과 목표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성과를 만들고자 한다”면서 “구체적인 계획과 치밀한 전략으로 도시구조의 완성도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구현으로 ‘수도권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의 지난 2년간 성과와 앞으로 2년의 계획을 살펴본다.

베트남 주석 방문·국제행사로 도시 브랜드 향상

광주시는 지난 2022년 12월 6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 방문 행사를 수행하며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의 국빈 의전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당시 방세환 시장은 푹 주석에게 경제 분야 전반에 대한 폭넓은 교류와 협력을 요청했고, 매년 12월 6일을 ‘베트남의 날’로 선포했다.

전 세계 27개국에서 2000여 명의 음악인이 모이는 ‘제20회 WASBE 세계관악컨퍼런스’도 오는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광주시 전역에서 펼쳐진다. 행사 기간 중에는 3만여 명이 광주시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구 123만명 수원특례시와 경합 끝에 ‘2026~2027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유치한 것도 민선 8기 전반기 큰 성과다. 2026년에는 경기도체육대회, 2027년 경기도 생활체육대축전이 광주시에 열리며 연 2만명 이상 선수단과 관람객이 방문하게 된다. 대회 개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632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68억원, 취업유발효과 723명으로 9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생활SOC·철도망 확충에도 박차

도시 정주여건 향상을 위한 각종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조성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한국토지신탁 컨소시엄과 ‘광주역세권 복합쇼핑몰 및 업무복합시설(MICE)’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광주역 일대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채워간다. 지난해 개장한 광주시 워터파크를 비롯해 체육·문화시설도 하나둘 완성돼 가고 있다.

‘20230년 광주역 중심 철도시대’를 목표로 37.9km 길이 경강선 연장사업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위해 용인시와 사전타당성조사를 마쳤으며, 성남시와 수서광주선·위례삼동선 추진을 위한 공동건의문 작성, 판교~오포 도시철도사업 경기도 승인 등 각종 철도 인프라도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여기에 삼성~광주~여주를 잇는 GTX-D 노선도 예정돼 광주시 교통여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규제개혁·국도비 확보에도 성과

수도권정비계획법, 상수원보호구역, 팔당특별대책지역 등 중첩된 규제해소에도 노력 중이다. 한강유역 6개 시·군 단체장과 국회의원, 전문가, 시민단체가 연대한 정책개발협의체 ‘한강사랑포럼’을 발족했으며, 청석공원 파크골프장과 퇴촌면·남한산성면 생활체육공원 조성사업도 규제를 풀어낸 사례 중 하나다.

중앙정부와 경기도 공모사업에 적극 도전하고 있다. ‘통합바이오 가스화시설 설치’ 588억원, ‘국산 목재 목조건축 실연사업’ 85억원, ‘광역단위 대기 개선지원 시범사업’ 24억원 등 총 64건의 공모에 선정돼 1000억원가량 국도비를 확보했다.

‘수도권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조성 위해 경주

광주시는 경기도의 2040 도시기본계획 승인으로 52만명 대도시로서 청사진을 그렸다. 또 2030 광주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를 추진해 체계적인 도시계획을 꾸렸다. 광주·곤지암역세권 2단계 도시개발사업, 삼동·초월역 도시개발 등 역세권 활성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밖에도 세종대와 협력해 도척면 유정리 일대 국방연구소·항공우주연구소·첨단바이오연구소 및 지원시설을 갖춘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