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창동·상계 등 13개 도시재생 핵심지역 선정

박태진 기자I 2015.11.19 09:00:00

4~5년 동안 100억~500억원 공공지원
시민 역량강화 프로그램도 도입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서울시가 추진 중인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의 법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13개 도시재생 핵심 지역을 선정했다. 서울형 도시재생은 전면 철거 방식이 아니라 지역만의 정체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하드웨어(개발·정비·보존 등)와 소프트웨어(경제·문화·복지 등)를 적절히 결합해 진행하는 맞춤형 정비 방식이다.

시는 서울 최초의 도시재생 법정계획인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지난 18일 열린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조건부 가결’로 통과됐다고 19일 밝혔다.

핵심 내용은 창신·숭인동, 서울역 일대, 창동·상계동 등 13곳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한 것이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자체장이 지정할 수 있고, 선정된 지역은 지역별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계획, 실행, 자력 재생의 3단계 과정을 밟게 된다.

시는 이번에 선정된 13개 지역을 국가 선도지역, 주민(자치구) 공모사업, 서울시 선도지역 등 총 3가지 방식으로 나눴다. 창신·숭의동 일대는 국가 선도지역이고, 주민 공모사업 지역은 △장위1동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동 △상도4동 등 5곳이다. 서울시 선도지역은 △서울역 △창동상계 △가리봉 △해방촌 △세운상가 △낙원상가 △장안평 등 7곳이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4~5년에 걸쳐 최대 100억~500억원 규모로 지역역량강화사업과 앵커시설 확충 등 마중물 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받게 된다.

시는 도시재생사업이 시민 주도적으로 이뤄지는 만큼 이들의 역량 강화에도 나섰다. 이를 위해 ‘시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를 도입한다. 이는 준비단계와 계획단계를 거쳐 실행단계, 자력재생단계로 구성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시 최초의 법정계획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최종심의를 통과함으로써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며 “향후 지역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담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차질 없이 진행해 서울의 각 지역이 명소화되고 지역 경제가 활성화돼 공동체가 살아나는 서울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