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최대 사찰 터, 익산 미륵사지 토목 공정 확인

이윤정 기자I 2024.06.11 09:17:24

흙과 깬 돌로 기초 만들어
6월 12일 현장 설명회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6월 12일 익산 미륵사 중원 금당지 발굴조사의 성과를 공개하는 현장 설명회를 개최한다.

삼국시대 최대 규모 사찰 터인 익산 미륵사지는 익산 왕궁리유적과 함께 백제 무왕시기 익산의 모습을 보여주는 백제왕도 핵심유적 중 하나이다. 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익산 미륵사 중원 금당지 발굴조사 원경(사진=국가유산청).
올해 실시한 발굴조사의 결과, 사역을 조성하기 이전의 자연지형과 금당지의 기초부터 내부 기단 축조에 이르는 순차적인 토목 공정을 확인했다. 중원 금당지의 건물 기둥 기초시설은 직경 2.2~2.4m에 깊이는 1.2m에 달한다. 흙과 깬 돌을 교차해 기초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미륵사지 조사에서 확인됐던 백제사찰 건축 기법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원 금당지 서편의 상당한 면적에서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기단 기초와 기둥 기초시설이 개축되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발굴조사 성과는 익산 미륵사의 동원·서원 금당지 및 삼국시대 국가 건립 건축물과의 축조 방식 비교를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삼국유사’에서 전하는 미륵산(해발 430m) 아래 미륵사의 자연지형과 이를 활용한 백제인의 토목기술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