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vs 80.. 불탄 BMW, 숫자도 헷갈리는 정부

성문재 기자I 2018.08.12 18:02:52

올해 BMW 차량 화재 건수..소방청과 국토부 집계 달라
커지는 국토부 책임론.. 운행정지 명령 내릴까

지난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BMW 서비스센터에 점검 및 수리를 받으려는 차량들이 주차장에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정부가 BMW 차량 화재사고건수를 정확히 알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는 등 교통당국의 책임론이 커지고 있다. 늑장대응 비난을 피하기 위해 사고건수를 축소해 발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그로 인한 불편과 불안감은 국민들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정부가 검토 중인 운행정지 명령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도 적지 않다.

12일 자동차업계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소방청이 집계한 올해 BMW 차량 화재사고 건수는 지난 11일까지 총 80건이다. 국토교통부가 밝힌 37건의 2배를 넘는 수치다.

BMW 차량 화재가 특히 올해 급증했다는 점에서 국토부가 보다 빨리 사태의 심각성을 포착하고 신속하게 대처했어야 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모니터링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늑장대응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2주간의 짧은 시간에 10만6000여대의 차량이 한꺼번에 긴급 안전진단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이 기간에도 BMW 차량 화재가 잇따르면서 운행정지 명령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소방청 차량화재 통계는 국토부도 이미 제공받아 참고하고 있다”며 “국토부 통계는 차량결함 등과 관련한 화재로 BMW 서비스센터에 입고된 기준이고, 소방청 통계는 화재원인을 가리지 않고 신고에 의해 출동한 건수 기준이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6시까지 안전진단을 받은 리콜 대상 BMW 차량은 약 5만6000대다. 정부가 언급한 14일까지 모든 리콜 대상 차량이 안전진단을 완료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BMW 리콜대상 차량 중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 점검명령과 함께 운행 제한을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시행 여부와 시기는 14일까지의 안전진단 진행 결과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그래픽= 문승용 기자
국토부는 BMW 리콜 대상 차량들이 긴급 안전진단을 받으면 위험한 차량을 걸러낼 수 있어 추가 화재가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긴급 안전진단이 시작된 8월에만 9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차량 중에는 안전진단을 받고 나온 차량도 있고,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차량도 있다. 국토부의 안전 그물망에 구멍이 뚫렸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운행정지 명령 발동 검토 사실은 지난 8일 김현미 국토부 장관 발언을 통해 처음 공개됐는데 현행 법상 자동차의 운행정지 명령 권한은 시·군·구청장이 갖고 있기 때문에 지자체의 협조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도로에서 단속을 위해서는 경찰 등의 협조를 받아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BMW가 제출한 자료의 검증에만 의존하지 않고, 현재 확보된 부품으로 우선 시험·분석을 진행하면서 최소 3대의 화재차량과 EGR(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부품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며 “이번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민간 전문가를 참여시켜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미(오른쪽)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8일 경기도 화성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을 방문해 BMW 차량 화재 사고와 관련해 제작결함 부품을 살펴보고 있다. 국토교통부 제공.


BMW 리콜 사태

- [이슈] 해외발 BMW 리콜 진실공방..한국만 차별 맞나? - 안전검사 마친 BMW 530d, 주행 중 화재…"엔진룸서 연기" - 檢, '배출가스 인증조작 혐의' BMW에 벌금 301억·벤츠 28억 구형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