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26년 초·중·고교생 '500만명' 밑으로…초1은 30만명 붕괴

김윤정 기자I 2024.02.12 16:42:23

한국교육개발원 2024~2029년 학생 수 추계
"초1 2029년, 절반넘는 지역서 1만명 아래로"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저출생 현상이 이어지면서 2년 뒤인 2026년 한국의 초·중·고교생 숫자가 500만명 선이 무너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30만명대로 떨어진 초등학교 1학년 취학아동 숫자는 2년 만에 20만명대로 진입할 전망이다.

2024학년도 초등학교 신입생 예비소집일인 4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서 입학을 앞둔 어린이와 학부모가 교실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1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4~2029년 학생 수 추계’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생 수는 올해 513만1218명에서 2026년 483만3026명으로 줄어 500만명 선이 깨질 전망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은 학령인구 감소 등 미래 변화에 대응해 교육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하고자 주민등록인구통계 등을 바탕으로 학생 수를 추계한다. 시·도별 만6세 인구에 취학률·졸업률·진급률·진학률 등을 고려해 계산해 도출한다.

저출생 현상이 심화하면서 초·중·고교생 숫자는 지속적으로 감소 중인데, 2029년에는 427만5022명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이같은 학령인구 감소세는 초등학교 신입생 숫자에서 두드러진다.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올해 34만7950명으로 예상되는데, 내년에는 31만9935명, 2026년에는 29만0686명으로 추산된다. 감소세가 이어지다 2029년에는 24만4965명까지 내려갈 전망이다.

교육기본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초등학교 1학년(4월1일기준) 학생 수는 40만1752명이었다. 따라서 40만명대가 무너진 지 2년 만에 30만명대도 무너지는 셈이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 감소가 급감하면서 2029년에는 전국 17개 시·도 중 절반 이상 지역에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1만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추산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