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실론 발사 성공..日우주산업, 해외개척 나선다

성문재 기자I 2013.09.15 16:20:26

"亞 신흥국의 위성 발사 수요 잡겠다"
최우선 과제는 발사비용 낮추기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일본이 자체 개발한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일본 우주산업 관련업계가 해외개척에 나서게 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5일 보도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14일 오후 2시 가고시마(鹿兒島)현 기모쓰키(肝付) 소재 우치노우라 우주공간관측소 발사대에서 ‘엡실론’ 1호기를 발사했다. JAXA는 엡실론에 실려있던 태양계 행성 관측용 위성 ‘스프린트 A’가 우주 궤도에 진입해 발사가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일본이 고체연료 로켓을 쏘아 올린 것은 2006년 9월 이후 약 7년 만이다.

14일 발사된 ‘엡실론’은 JAXA가 개발하고 일본 기업 IHI에어로스페이스가 생산한 로켓이다. 205억엔(약 2234억원)을 들여 공동 개발한 엡실론은 전체 길이 24.4m, 지름 2.6m, 무게 91t의 3단 고체연료 로켓으로 1.2t짜리 소형 위성을 지구를 도는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다. 가와사키중공업과 NEC, 미쓰비시중공업이 부품을 공급하는 등 거의 순수 일본산이라고 해도 무방하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우주산업 매출 추이(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그러나 일본의 우주 관련 산업 매출액은 지난해 약 2800억엔으로 세계 시장 점유율이 한자릿수에 불과하다.

이들 우주산업 업체는 현재 매출 대부분을 정부 주도 사업에 의존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신흥국의 위성 발사 수요를 잡겠다는 각오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과학 관측 및 방재 등에 사용하는 소형위성 수요가 아시아 신흥국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일본 업체들은 로켓뿐만 아니라 소형 위성을 이들 신흥국에 판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문은 그러나 미국과 유럽, 러시아, 중국, 인도가 격전을 벌이는 세계 상업위성 발사 시장에서 살아남기란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세계 주요 중소형로켓의 발사비용 비교(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로켓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발사비용면에서 엡실론이 뒤처져 있기 때문이다. 엡실론 1호기의 발사비용은 53억엔으로 러시아, 인도 등에 비하면 2~4배 수준이다.

이에 대해 일본 항공우주 업체들은 “1호기는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했기 때문에 기존 로켓 탑재 소재나 부품을 많이 사용했다”며 “기능성이 높은 첨단 소재로 대체할 경우 성능과 가격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발사비용을 낮추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형태로 만든 이번 엡실론 발사에 대해 군사전략적 의미도 작지 않다고 지적했다. 엡실론에 쓰인 고체연료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기술과 동일하다는 이유에서다.

▶ 관련기사 ◀
☞ 일본,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 성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