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탄력 붙은 서울 아파트”…비수기에도 훈풍부나

오희나 기자I 2024.06.23 17:09:54

7~9월 비수기 거래량 줄어드는 패턴…1월부터 다시 늘어
신생아특례대출 소득 요건 완화 등으로 수요 꾸준할 것
"스트레스DSR 2단계 시행 '저가 위주 거래'…거래량 유지 어려워"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가 늘고 가격이 반등하면서 바닥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하지만 주택 시장의 추세적인 반등을 전망하기는 이르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몇년간 이어졌던 역대급 거래 절벽에서는 벗어나는 분위기이지만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는지 좀 더 두고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2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5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755건을 기록했다. 지난 3월 4229건을 기록한 이후 3달 연속 4000건을 넘어서고 있다.

다만 건수는 늘고 있지만 증가세는 다소 둔화하는 흐름이다. 실제로 △1월 2611건 △2월 2570건 △3월 4229건 △4월4376건 △5월 4755건으로 증가 추세가 뚜렷했지만 4월부터 증가폭은 줄어드는 모양새다.

여기에 부동산 시장이 7월부터 9월까지 비수기에 들어가면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4000건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통상 부동산 비수기엔 거래량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1년 급등장 당시에도 △6월 3936건을 기록한 뒤 △7월 4673건 △8월 4059건 △9월 2689건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2022년과 2023년도 마찬가지다. 2022년엔 △6월 1062건 △7월 644건 △8월 756건 △9월 606건을 기록했고, 2023년엔 △6월 3835건 △7월 3578건 △8월 3859건 △9월 3356건을 기록했다. 특히 비수기에 줄어든 거래량은 연말까지 감소 추세를 이어가다 봄 이사철을 앞두고 1월부터 늘어나는 패턴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오는 7월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시행돼 대출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거래량이 증가 추세를 이어가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정부가 저출생 대책으로 내놓은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요건이 2억5000만원까지 늘어나기 때문에 서울 외곽 중저가 주택을 찾는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연구위원 “7월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 도입되는 부분은 수요 감소 요인이지만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조건이 완화되는 것은 수요 증가 요인”이라며 “중저가 주택 위주로 매입수요가 꾸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파트값이 올라가면서 입지 희소성이 있는 곳이 아니라면 저가 위주로 거래되고 있어 아직 투자수요가 유입되면서 상승 추세를 보이는 장세는 아니다”면서 “전셋값이 오르기 때문에 이참에 집을 사자는 분위기가 있지만 시장이 급등락하는 시기는 아니어서 4000건을 유지는 어렵고 소폭 감소한 수준으로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