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토요타, 역대 시총 1위 등극 얼마나 됐다고…아키오 회장 연임 '빨간불'

양지윤 기자I 2024.06.09 15:34:47

토요타, 시총 일주일 새 25조원 이상 증발
1월 역대 최대 시총 달성 5개월 만에 50조엔선 '위태'
생산 중단 3개 차종, 전 세계 생산량의 1% 미만
올해 연간 영업익 1% 미만 영향에도 투심 싸늘
품질관리에 대한 거버넌스 신뢰 추락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토요타자동차가 지난 1월 일본기업 역사상 최대 시가총액을 기록한지 5개월여 만에 주가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자동차 품질 인증 조작이 드러나며 투자자들의 시선이 싸늘해진 탓이다. 이번 사태가 토요타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으로 미미하지만, 품질에 대한 무너진 신뢰에 투자심리 회복이 쉽지 않아보인다. 특히 본사와 계열사의 잇따른 부정행위가 드러나면서 창업주 손자인 도요다 아키오 회장의 사내 이사 연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도요다 아키오 토요타자동차 이사회 의장이 지난 3일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음료를 마시고 있다.(사진=AFP)
9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토요타자동차 주가는 지난주(6월3일~7일)보다 5.35% 하락하며 7일 장 마감 기준 시총은 50조 8441억엔(약 447조962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3일 일본 국토교통성의 인증 부정 발표 직전 거래일인 지난달 31일 53조 7187억엔(약 473조 2886억원)에 견줘 2조 8746억엔(25조 3266억원)이나 증발했다.

앞서 토요타는 지난 1월24일 시총 48조7981억엔을 기록하며 거품경제 시기인 1987년 NTT가 기록한 시총 48조6720억엔을 넘어 일본 기업으로는 37년 만에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인증사기 파문으로 주가 상승세에 제동이 걸리며 시총 50조엔선이 위협받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전망에도 투자자들은 연일 토요타자동차의 주식을 매도하기에 바쁜 모습이다. 토요타가 국토교통성의 명령으로 생산을 중단하는 3개 차종의 연간 생산량은 13만대 수준이다. 1000만대가 넘는 전 세계 생산량의 1%에 해당하는 규모로 시장에선 한 달간 판매를 중단할 경우 영업이익이 100억~150억엔(약 877억~1315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시야마 요시타카 미즈호증권 연구원은 “생산 중단 영향은 월 기준 약 90억엔(약 789억원), 협력업체에 대한 보상은 최대 220억엔(약 1929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며 “토요타의 2025년 3월기(2004년 연간) 마감 회계연도 영업이익 전망치는 4조 3000억엔(약 37조 8851억원)으로, 1% 이하”라고 분석했다.

품질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게 주가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적 감소보다 신뢰 저하를 야기한 지배구조에 대한 우려가 투심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쿠보타 토모이치로 마쓰이증권 애널리스트는 “다음에도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계심 때문에 매수하기 어렵다”며 “품질관리에 대한 거버넌스(기업지배구조)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점이 주가에 짐이 되고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번 사태는 아키오 회장의 연임 가도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크다. 토요타자동차는 오는 18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그의 연임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 의결권 행사 자문업체인 인스티튜셔널 쉐어홀더 서비시즈(ISS)와 글래스루이스는 이번 주총에서 아키오 회장의 사내 이사 연임에 반대할 것을 주주들에게 권고했다. 이들은 “토요타그룹의 잇따른 인증 부정 문제에 대한 최종 책임은 수년 간 이끌었던 최고 책임자가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일본 주간지 슈칸분순은 올 초 토요타 계열사의 인증 부정 논란에 아키오 회장의 경영 스타일 변화가 주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 바 있다. 스가와라 이쿠로 토요타 사외이사는 슈칸분순과의 인터뷰에서 “예전에는 주변에 일가견이 있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2020년부터 부사장 등 임원을 내보내는 등 (회사 경영에) 솔직하게 말할 사람이 없어졌다”며 아키오 회장의 경영 방식을 비판했다.

일각에선 의결권 자문회사들의 반대 권고에도 그가 연임에 성공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3월 말 현재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이 20%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토요타의 전체 지분 중 절반은 우호지분인 만큼 최종 표결 결과는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