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AIST, 메타버스 기술로 동아시아 극한호우 원인 입증

강민구 기자I 2023.12.05 09:24:07

60여년간 증가한 동아시아 전선 호우 기여도 평가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지난 60여년 동안 동아시아지역에 호우 강도가 약 17% 늘고, 주된 원인이 인간 활동에 의한 지구온난화의 가속화 때문이라는 사실이 메타버스 기술로 입증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형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와 문수연 인문사회연구소 박사가 한·미·일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과거 60여년 간 관측한 동아시아 지역의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 증가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의 영향이었음을 지구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해 증명했다고 5일 밝혔다.

김형준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사진=KAIST)
여름 호우는 농업, 산업에 영향을 준다. 홍수나 산사태 등의 재해를 일으켜 인간 사회에서 위협 중 하나이다. 여름 호우 강도가 과거 몇십 년간 변화돼 온 사실은 세계 각지에서 알려졌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여름 호우는 태풍, 온대 저기압, 전선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에 기인하며, 여름 호우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전선이 야기하는 호우 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호우는 기후 시스템의 자연 변동이나 우연성에 의한 영향도 있기 때문에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가 전선 유래의 호우 강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KAIST, 동경대, 동경공업대, 전남대, GIST, 유타주립대 등 한·미·일 8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동아시아의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를 과거 약 60년간 관측 데이터로 확인했다. 그 결과, 중국 남동부의 연안 영역부터 한반도, 일본에 걸쳐 호우 강도가 약 17% 증가한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변화 원인을 밝히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있는 지구와 그렇지 않은 지구를 시뮬레이션한 지구 메타버스 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온실가스 배출에 의해 호우 강도가 약 6% 강화됐으며, 발견된 변화가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의 영향 없이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형준 KAIST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가 반세기에 걸쳐 증가했고, 변화에 이미 인류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겨져 있음을 증명한다”며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며, 탄소중립을 달성하더라도 반드시 진행되는 가까운 미래 기후변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지난 달 24일자로 출판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