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도 원종천 책임연구원, '발명의 날' 대통령 표창 받아

이승현 기자I 2021.06.01 09:37:58

차체와 섀시 기계적으로 분리한 디지털 제품 개발
IDB 국산화한 김진석씨도 산자부장관 표창 수여

‘56회 발명의 날’ 행사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은 원종천 만도 책임연구원(왼쪽)과 산자부장관 표창을 받은 김진석 책임연구원이 수상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만도)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자동차 섀시 전동화 부품 전문기업 만도(204320)의 원종천·김진석 책임연구원이 지난 31일 개최된 ‘제 56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각각 ‘대통령 표창’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특허청에서 주최하고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주관하는 발명의 날 기념식은 우수 발명 유공자를 선정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포상하는 행사다.

대통령 표창을 받은 원종천 책임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이중 안전화 제어 기술(Redundant)’을 자유 장착형 운전(조향)시스템에 적용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자유 장착형 운전 시스템은 ‘CES 2021’(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SbW(Steer-by-Wire)다. SbW는 120년 동안 난제였던 차체(운전공간)와 섀시(기동공간)의 기계적 분리를 실현한 디지털 제품이다. 특히 서랍처럼 운전대가 차 안으로 들어가는 ‘오토 스토우(Auto Stow)’ 기능이 있어서 자율주행차 디자인 설계 자유도는 물론 승객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도 각광 받고 있다.

김진석 책임연구원은 다이나믹 전자브레이크(IDB : Integrated Dynamic Brake) 국산화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관련 핵심 특허는 61건이다. IDB는 모터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를 멈추게 하는 첨단 제동 시스템이다. 기존 브레이크 시스템보다 반응이 빨라서 자동비상브레이크(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작동에 최적화 돼 있다. 최근 전기차 등 수요 증가에 따라 IDB 시장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만도는 국내 2777건, 해외 1834건 등 총 4611건의 특허권을 확보하며 첨단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 받고 있다.

만도 남궁 현 Global Legal 센터장은 “만도는 섀시 전동화,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기술 선점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발명과 기술 보호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만도가 미래차 부품 글로벌 선도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