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무주 한풍루'·'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등 지방 문화재 보물 지정

김은비 기자I 2021.06.22 09:31:19

'한풍루' 조선시대 관아건물 중에서도 으뜸
'회암사지 사리탑', 장대한 규모에 보존상태 좋아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무주 한풍루’와 경기도 유형문화재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등 2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22일 지정했다.

무주 한풍루 측면 모습(사진=문화재청)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인 ‘무주 한풍루’는 선조 때 문신 백호 임제가 무주 한풍루, 남원 광한루, 전주 한벽당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 문화재다. 현판은 한석봉이 썼다고 전해지며, 수많은 묵객이 글과 그림으로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당시 시대상과 문화상을 알 수 있는 건물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조선전기 문신 성임과 유순 등이 한풍루를 보고 쓴 시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여러 기록을 통해 조선 초기부터 존재해 왔음을 알 수 있고, 임진왜란(1592) 당시 전소된 이후 다시 건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주 한풍루는 정면 3칸, 옆면 2칸의 중층 누각)사방이 탁 트이게 높이 지은 다락집) 팔작지붕 건물로 이익공 양식 등의 특성을 보이며 조선 후기 관아누정 격식에 충실하게 건축됐다. 건물의 설치 등의 건축적 요소에서 구조적 안정감과 미적가치를 고려한 무주 한풍루만의 건축적 특이성도 볼 수 있다.

최근에 목재 연륜 연대 분석에서 16~17세기 중수 당시 기둥과 창방 등 주요 목부재가 확인돼 진정성 있는 복원이 이루어졌다는 점과 임진왜란 전후의 중수와 복설, 일제강점기 훼철될 위기에 있던 건물을 원래의 모습과 자리로 되찾으려 한 무주군민의 애환이 담긴 점, 우리나라 몇 안 되는 중층 관영 누각으로 17세기 시기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점 등 역사, 건축,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고 문화재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모습(사진=문화재청)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이하 사리탑)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해 건립한 진신사리탑(석가모니의 몸에서 나온 사리를 모신 탑)으로 규모가 장대할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사리탑의 형식과 불교미술의 도상, 장식문양 등 왕실불교미술의 여러 요소를 알 수 있다.

사적‘양주 회암사지’내에 위치한 사리탑은 발굴조사와 탑의 입지, 기록 등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석가모니의 진신사리가 봉안됐 불탑임을 알 수 있다. 또 탑에 새겨진 다양한 조각은 조선 시대 왕실발원 석조물과 양식적인 부분이 비슷하며, 회암사 구역에 위치한 삼화상 탑과의 영향관계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사리탑은 팔각을 기본으로 구축된 다층의 기단부와 원구형 탑신, 상륜부로 구성돼 있다. 팔각을 평면으로 지대석 윗면에 2층으로 조성된 기단을 구축하고 다른 승탑에 비해 기단 면석은 높게, 갑석은 두텁게 치석해 현존하는 사리탑 중 가장 높은 기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체적인 양식과 조영기법, 세부 문양들이 조선 전기의 왕릉을 비롯한 왕실 관련 석조물과 비슷하다. 문화재청 측은 사리탑의 규모, 치석 상태, 결구 수법 등을 고려할 때 당대 최고의 석공이 설계·시공했을 것으로 분석하며, 해당 문화재는 조선 전기 석조미술의 정수이자 대표작으로 역사·학술·조형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무주 한풍루’,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등 2건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