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웰스투어 2017] 귀농귀촌 꿀팁? 정부·지자체 지원정책 살펴야

전상희 기자I 2017.05.14 12:00:00
[이데일리 전상희 기자]“귀농귀촌, 전원주택 분야는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은지 이제 10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전문가나 정보가 많지 않은 만큼 더욱 부지런히 발품을 팔아야죠”

박철민(59·사진) (주)대정하우징 대표는 귀농귀촌이나 전원주택에 관심을 갖는 이들에게 이같이 강조했다. 박 대표는 △정부와 지자체별 지원 정책 △지자체 박람회 △전문가와의 상담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 비교할 것을 권했다.

농림부와 해양수산부, 산림청은 귀농·귀촌 대상자와 마을에 저리 대출과 세금 감면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각 지자체가 별도로 마련한 지원정책과 청년귀농귀촌 박람회 등도 유용하다.

박 대표는 “귀농귀촌 관련 기업부동산 사기나 사업 투자 사기 등이 빈번하다”며 “검증되지 않은 사업 수익률에 현혹되거나 일방적인 정보에 휩쓸려선 안된다”고 당부했다.

박 대표는 앞으로 귀농귀촌, 전원주택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귀농귀촌과 전원주택은 제2의 인생을 꿈꾸는 베이비부머 세대와 해고, 명예퇴직자, 고학력 미취업자 등을 중심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전원주택은 수도권과 인천, 대전, 부산 등을 중심으로, 귀농귀촌 사업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중심으로 활성화된 상태다. 박 대표는 “베이비부머의 30~40%에 해당하는 약 730만명 등을 포함해 총 1000만 인구가 향후 10년간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신정부 출범 이후 지원정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 대표는 “앞선 정부들도 전원마을 사업, 융복합 마을 사업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농어촌 공동화 현상에 대응해왔다”며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농촌 지자체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는 지금 새로운 정부도 귀농귀촌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오는 19일 부산 KB아트홀에서 열리는 ‘2017 이데일리 웰스투어’ 제5세션에서 ‘수익형 마을 만들기와 전원주택,귀농귀촌 창업과 사업’을 주제로 강연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