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에너지경제연구원 "초과공급 때문에 LNG 계약방식 더 유연해질 것"

김형욱 기자I 2019.08.11 17:39:46

공급과잉 2025년 이후에도 지속 가능성
현물 시장가격 낮아지며 장기계약 '불리'
"추이 이어지면 亞 중심 바뀔 가능성 커"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자협회(GIIGNL)가 집계한 1996~2018년 연도별 LNG 장·단기거래 규모 및 비중 추이. 에너지경제연구원 제공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초과공급이 이어지면서 유가와 연동한 현 장기 계약 방식이 현물 가격에 연동하는 단기 방식으로 유연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11일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19~28호를 통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당분간 세계 LNG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호주 등의 LNG 공급이 늘고 있는데 주요 수입국인 한국·대만·일본 등의 수요는 정체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또 국제 시장조사기관 IHS 마르키트(Markit) 전망을 토대로 신규 수입국 증가와 유럽 잉여물량 흡수 영향에 2023년께 공급 과잉이 어느 정도 풀릴 순 있지만 2025년 이후 다시 공급과잉 상황이 재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신규 LNG 프로젝트 최종 투자결정이 늘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 때문에 현 계약 방식이 유연하게 바뀌는 추세가 더 강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 LNG 계약은 보통 장기간 유가와 연동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특히 우리를 포함한 아시아권에선 이 같은 계약 비중이 월등히 컸다. 그러나 LNG 현물 시장 가격이 기존 유가 연동 장기 계약 가격보다 크게 낮아지면서 수요자가 단기거래를 선호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실제 LNG 수입자협회(GIIGNL)가 올 3월 발표한 지난해 4년 이하 스팟·단기계약 기반 LNG 무역량이 9930만t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점유율 역시 32%로 처음 30%를 웃돌았다.

서유럽은 이미 2009~2012년 가스시장 자유화와 미국산 셰일가스 대량 유입을 계기로 기간계약 가격이 현물시장 가격에 연동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 추세가 보수적이던 아시아권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국제 LNG 공급과잉 추이가 이어진다면 자유도가 낮았던 아시아에서도 시장가격에 근거한 계약 방식 비중이 더 늘어날 수 있다”며 “업계에선 미국 가스허브나 유럽 가스허브, 석탄 같은 대체상품 가격이나 JKM 등 LNG 현물가격 지표에 연동하는 방식 등을 고려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물론 아직 다수 아시아권 구매자는 유동성 부족이나 가격 위험성을 이유로 아직까지 연동 방식에 부정적이다. 단기거래 때도 입찰 방식을 선호하는 것도 시장지표 활용 방식 도입에 제약 요인이다.

연구원은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이 흐름이 바뀔 수 있다고 봤다. 연구원은 “국제 LNG 시장은 점차 전통적인 장기계약 시장에서 유연한 상업 거래시장으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며 “시장가격과 연동한 장기 계약이 일반화했을 때를 대비해 가격 리스크 관리에 더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8년 1월부터 올 4월까지의 국제 가스 및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추이. LNG 장기 계약 가격을 결정하는 국제 유가(브렌트유) 가격은 지난해 12월 이후 소폭 상승하고 있는데 같은 기간 아시아 LNG 현물 가격은 공급 과잉 영향으로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현 시점에선 장기 계약보다 단기 계약이 훨씬 유리하다는 것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