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바이로메드, HGF유전자 신경재생 원리 국제학술지 게재

김지섭 기자I 2018.08.11 18:04:54

VM202의 작용기전 규명…특정 신호전달 시스템 활성화
다양한 신경질환 사용 가능성 확인 “VM202 확장성 기대”

[이데일리 김지섭 기자]바이로메드(084990)는 간세포성장인자(HGF) 유전자를 탑재한 유전자치료제 ‘VM202’의 작용기전(MOA) 중 하나를 발견해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11일 밝혔다.

바이로메드는 신경이 손상됐을 때 말초신경계를 구성하는 ‘슈반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원리를 규명해 국제학술지 ‘생물화학·생물물리연구(BBRC)’ 지난 10일자 온라인판에 공개했다.

HGF는 여러가지 활성을 보이는 다기능성 성장인자인데 명확한 원리가 알려진 바 없었다. 바이로메드 연구팀은 지난 5월 HGF가 신경손상 시 슈반세포를 활성화 시켜 말초신경을 재생할 수 있다는 내용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으나, HGF가 어떻게 슈반세포에서 이 같은 변화를 유도하는지 명확히 결론내지 못했다. 또 신경이 손상됐을 때 슈반세포에서 ‘c-Fos’라는 단백질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졌는데 이 또한 원리가 밝혀진 바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바이로메드는 말초신경이 손상됐을 경우 HGF의 양이 증가할 때 HGF가 슈반세포에서 c-Fos의 발현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c-Fos는 AP-1이라는 전사인자를 구성하는 2개 단백질 중의 하나로, AP-1은 신경손상과 신경재생 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다.

또 바이로메드는 HGF가 슈반세포에 작용하면 여러 종류의 신호전달 시스템을 활성화하는데, 특히 ERK/CREB라는 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돼 c-Fos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아울러 슈반세포에서 HGF에 의한 c-Fos의 발현을 낮췄을 때, 슈반세포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밝혔다. HGF가 슈반세포에 작용하면 슈반세포에서 신경영양 인자(GDNF, LIF 등)의 발현 및 세포의 이동이 증가하는데, c-Fos의 발현이 저해되면 이 같은 현상도 저해되는 것. 이는 슈반세포의 활성이 c-Fos 전사 인자를 통해 조절됨을 의미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김선영 바이로메드 대표는 “이번 연구를 통해 HGF가 슈반세포에서 c-Fos를 증가시켜 손상된 신경을 복구시킬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밝혔다”며 “VM202가 어떻게 망가진 신경을 고치고, 장기간 진통 효과를 내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발견은 VM202가 슈반세포에 작용해 여러 종류의 신경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VM202의 확장성이 매우 클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로메드가 지난 10일 국제학술지 ‘생물화학 생물물리연구(BBRC)’에 발표한 HGF유전자의 신경재생 원리 관련 논문(자료=바이로메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