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지도체제 변경 물건너가나…굳어지는 한동훈 대세론

김기덕 기자I 2024.06.09 14:55:09

전대 룰 개정 위한 특위 12일 활동 종료
민심 반영 방안 외에는 사실상 소득 없어
한동훈 등판이 관건…“대권 도전이 변수”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다음달 말 치러지는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 분위기로 굳어지는 모양새다. 유력한 당권 주자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등판을 견제하는 차원에서 지도체제 변경 등 전당대회 룰 개정을 논의했지만 빈손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현행 당원투표 100%인 전대 룰에 민심을 반영하는 비율도 소폭 이뤄져 사실상 보여주기식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여권에 따르면 다음달 23~25일 중 치러질 예정인 전당대회에서 룰 변경을 논의하는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활동 시한(12일)을 사흘 앞둔 상황에서 아직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상황이다.

특위는 앞선 회의를 통해 민심 반영 비율, 지도체제 전환, 역선택 방지 조항, 당권·대권 분리 등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중 당원 100%를 반영하는 방식을 일부 수정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 외에는 나머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특위는 오는 12일까지 논의한 내용을 13일 열리는 당 최고기구인 비대위에서 전달, 최종 의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사진=이데일리)
한 특위 위원은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사실상 일반 여론조사를 20% 또는 30%를 반영하는 방안 외에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소득 없이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만장일치가 아니더라도 6명의 특위 위원들이 모두 동의하지 못한 사안은 개정하지 못하고 그대로 현행대로 유지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당 지도부가 올림픽 기간 이전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해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특위는 추가 활동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12일 해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위는 2022년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심 100%로 개정(기존 당심 70%·민심 30%)했던 전대 룰은 반드시 개정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앞서 4·10 총선에서 참패를 한 만큼 당원이 아닌 민심 반영을 높여야 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다만 룰 개정은 민심 50% 반영과 같은 혁신적인 조치가 아니라 20~30%에 그쳐 과거로 회귀하는 조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여권 관계자는 “일반 여론조사 비율을 일부 반영해도 현재 가장 유력한 한 전 위원장의 당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도움을 주는 꼴”이라고 말했다.

기존 당대표 1인 중심의 단일 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하거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쏘아 올린 하이브리드형 ‘2인 지도체제’도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사실상 한 전 위원장이 견제하기 위한 차원이지만 친윤계, 친한계, 당권 유력 후보들은 각 집단 내부에서도 의견이 제각각인데다 과거 김무성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전신) 대표 시절 실패 경험이 있는 만큼 전환이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이제 남은 건 한 전 위원장의 결단이다. 한 전 위원장은 전날에 이어 이날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유죄 판결을 두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저격하는 등 정치 복귀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이 등판할 때 가장 변수가 될 수 있는 점은 대권 주자는 1년 6개월 전 사퇴해야 한다는 당헌 규정이 될 수 있다”며 “2026년 6월 지방선거 이전에 사퇴하는 것이 한 전 위원장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