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로봇이 소독약 뿌리고, 개인 동선파악···KIST 방역기술 도움될까

강민구 기자I 2020.11.22 12:00:00

KIST, 방역로봇 'AIDBOT' 개발···직간접 소독 동시 가능
실내·지하 공간 LTE·와이파이 등으로 파악 연구 진행
슈퍼컴퓨터로 개인 동선 따른 질병 전파 양상도 분석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위잉~”. 경고음이 울린 후 로봇이 벽면을 따라 천천히 이동한다. 로봇의 전면 상단부에서는 소독약을 분사하고, 양 옆 부분에서는 UV(자외선)를 통한 간접 소독도 함께 이뤄진다. 천천히 이동하지만 방역 목표를 자동으로 인식해 분사하고, 3차원 지도를 만들어 장애물을 알아서 회피할 정도로 똑똑하다.

로봇을 개발한 김강건 지능로봇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원격 로봇을 통해 작업자 감염 위험 없이 넓은 면적에서 소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며 “연구원뿐 아니라 병원, 학교 등 다중이용시설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IST)이 ‘한국과학기자협회-KIST’ 연구성과 세미나에서 코로나19 방역대응 기술을 공개했다. KIST는 코로나19 확산 시뮬레이션 통해 방역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시뮬레이션부터 실내에서도 끊기지 않는 확진자 개인 동선 파악, 방역 로봇 기술을 선보였다. 해당 기술들은 상용화를 추진중이거나 방역정책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중에 있다.

UV 간접소독과 소독약을 통한 직접 소독이 가능한 방역로봇.(사진=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밤시간대 작업자 대체 로봇, 실내공간 확진자 동선도 확인

KIST는 이날 공개한 방역 로봇을 ‘AIDBOT’을 연구원 방역에 우선 적용하고, 병원이나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에 보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로봇은 밤시간대를 활용해 4~5시간 동안 이동하며 사람보다 효과적으로 방역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며 “박테리아 박멸 시험,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등을 곧 마치고, 내년 초까지 기술이전을 통해 제품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KIST 연구팀은 또 신속한 역학조사와 과학적 기반을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정책의 과학적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이택진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위치정보 기반 개인 동선 파악 기술을 위해 각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합하는 연구개발을 통해 확진자 발생 시 건물 전체 폐쇄를 피해야 하는 병원, 요양시설 등에 접목하기 위한 신속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개발중이다.

이택진 책임연구원은 “기존 역학조사는 GPS, CCTV, 결제정보, 개인진술 등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역학조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 했다”며 “LTE, 와이파이 등 공간 지문정보, 웨어러블 태그 등을 활용해 차량, 확진자 이동을 실내외 모두에서 인식해 지하주차장, 터널, 백화점 등에서도 높은 정확도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확진자수가 연일 300명을 넘어서는 가운데 방역정책의 과학적 실효성을 제시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김찬수 연구원은 “슈퍼컴퓨터 상에서 개인을 기초 단위로 활용해 감염성 질병의 전파·확산 등을 시뮬레이션하면 코로나19 확산과 방역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며 “인과관계까지는 어렵지만, 상관관계를 확인해 이태원이나 신천지 발 확진자 영향, 깜깜이 환자의 영향 등 관련 연구를 통해 방역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려고 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