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윤동주 시집 양조장 장독 덕에 빛봤다

김용운 기자I 2017.04.05 08:08:46

권영민 교수의 문학 콘서트
권영민ㅣ352쪽ㅣ해냄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일제 강점기. 섬진강 하구의 망덕포구가 고향인 청년은 서울에서 유학 중 강제로 징용될 상황에처했다. 문학도였던 청년은 일제의 학병으로 끌려가기 전 고향의 어머니에게 자신이 책과 쓰던 노트, 그리고 각별하게 친했던 선배의 원고를 맡긴다.

1942년 이름 봄날. 경주 부근의 경천역에 내린 22세의 청년은 사뭇 설레는 감정을 주체할 수 없었다. 식민지 시대 우리말로 시를 쓸 수 없던 상황에서 갑갑하기만 했던 청년은 다섯 살 위인 그의 시를 보고 동지애를 느꼈다. 편지를 보내 마음을 전했고 서로 만남을 약속한다.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로 정년 퇴임하고 미국 버클리대학의 한국문학 겸임교수로 활동 중인 저자가 현대 근현대 한국 문학과 미술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순간들을 찾아내 특유의 서정적 필체로 풀어냈다. 지난 2012년부터 ‘권영민의 문학 콘서트’라는 이름으로 펼친 문학 강연의 원고와 일간지 등에 발표했던 칼럼들을 묶어 작가들의 뒷이야기와 인간적인 모습을 전한다.

책 첫머리에 엮은 ‘윤동주의 숨겨진 시 노트’에는 윤동주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나오기까지 과정을 알려준다. 윤동주는 연희전문 후배인 정병욱에게 원고를 맡기고 학도병에 끌려갔다. 정병욱도 학도병에 징집되어 전선으로 떠나기 전 고향에 내려가 어머니에게 기약없는 인사와 함께 짐을 맡겼다.

정병욱은 일제의 태평양 전쟁 전선에 투입됐다가 부상으로 고국에 돌아왔고 해방 후에야 윤동주가 1945년 2월 후쿠오카 교도소에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다. 정병욱은 다시 고향에 내려가 어머니에게 징병 전에 맡긴 짐 속에 있던 원고를 잘 간직하고 있는지 물었다. 정병욱의 어머니는 아들의 짐을 일제의 감시를 피해 양조장 큰 장독에 숨겨놓았다가 해방 후 이를 꺼내 명주 보자기에 여며 장농 속에 보관하고 있었다. 만약 정병욱의 어머니가 아들이 맡겼던 윤동주의 원고를 지키지 못했더라면 윤동주 시집은 세상에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20대의 조지훈과 박목월이 목월의 고향 경주 인근 경천역에서 처음 만났던 순간은 그 자체로 한 편의 시와 같다. 조지훈은 1955년 발간한 박목월의 시집 ‘산도화’의 발문에서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얼마 뒤에 목월에게서 답장이 왔다. 그 짧으면서도 면면한 정회가 서려 있는 편지는 다음과 같았다. ‘경주박물관에는 지금 노오란 산수유꽃이 한창입니다(중략)’ 이 짧은 글을 받고 나는 이내 전보를 쳤다.”

박목월은 훗날 조지훈을 애도하는 글에서 “경주에 있는 나에게 하루는 편지가 왔다. 봄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처럼 멋이 있으면서 단아한 지훈의 필체로 넉 장 정도의 긴 편지였다. 그의 첫인상은 시인이라기보다는 귀공자 같았다. 나는 서울에서 온 시우를 맞아 그날 밤을 뜬눈으로 새웠다”며 서로 처음 만났던 순간을 회상했다. 조지훈은 서울로 돌아가 ‘목월에게’란 부제가 붙은 ‘완화삼’을 보냈고 박목월은 이에 대한 화답으로 ‘구름에 달 가듯이’로 유명한 ‘나그네’를 헌사한다. 둘의 교우는 훗날 한국시의 새로운 지평을 연 ‘청록파’의 결성으로 이어진다.

학술적인 문학 이론이나 작가들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보다 작가들의 개인사와 시대의 곡절이 유려하게 연결된 덕에 읽는 부담이 덜하다. 윤동주와 조지훈, 박목월 외에도 이상이나 이광수, 한용운 등 그저 시험 문제로만 익혔던 작가들의 연표 뒤에 숨어 있는 개인사와 문학 작품 탄생의 뒷이야기를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무엇보다 작가들이 남긴 인품과 우정이 짙은 여운을 남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