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영남 동족마을 '칠곡 매원마을', 국가등록문화재 된다

이윤정 기자I 2023.04.14 09:29:03

광주이씨 이윤우 후손들 현재까지 살아
역사성·시대성 갖춘 민속적 요소 간직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소재의 ‘칠곡 매원마을’을 14일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칠곡 매원마을’은 영남지방의 대표적인 동족마을 중 한 곳이다. 17세기 광주이씨 석담 이윤우(1569~1634)가 아들 이도장(1603~1644)을 데리고 함께 이주한 후, 이도장의 차남 이원록(1629~1688)이 뿌리를 내려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살고 있다.

칠곡 매원마을(사진=문화재청).
마을은 주변 자연에 순응해 동·서 방향을 축으로 형성돼 있다. 가운데 ‘중매’를 중심으로 동쪽의 ‘상매’와 서쪽의 ‘하매’로 영역이 구분된다. 이는 동족 구성원들이 분파(分派)되어 나아가는 시간적·공간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마을 곳곳에는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중에서도 ‘소나무 밭’(동솔밭)은 마을 서쪽 경계(풍수지리상 우백호에 해당)의 지형을 보강하기 위한 비보수(줄지어 심어 조성한 숲)다. 풍수지리적으로 이상적인 주거지를 만들기 위한 전통적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오늘날에도 동제(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해서 마을의 전통을 계승해오는 등 지난 400여 년간 보존되어온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칠곡 매원마을’ 내 여러 곳에는 재실(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집)이 세워졌으나 근대기와 6·25전쟁 등을 거치면서 다시 실용적인 주거 공간으로 용도가 바뀌었다. 이를 통해 유교적 질서체계가 시대적 상황에 순응하며 변모해 가는 양상을 들여다볼 수 있다.

근·현대기를 지나오면서 이뤄진 마을 영역의 확장 및 생활방식 등의 변화 속에서 다른 영남지방의 동족마을과 구별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또한 가옥 및 재실, 서당 등을 비롯해 마을옛길, 문중 소유의 문전옥답(집 가까이에 있는 비옥한 논, 아주 귀한 재산을 의미), 옛 터 등 역사성과 시대성을 갖춘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등록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다.

문화재청은 ‘칠곡 매원마을’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