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밸류업 세일즈 나선 이복현·정은보…공매도 재개·밸류업 강조

김보겸 기자I 2024.05.19 15:56:47

16일 금감원·지자체·금융권 공동 뉴욕 IR 개최
공매도 재개 여부 관심…이복현 "6월 중 발표"
정은보 "한국 밸류업, 일본과 달라…인센티브 핵심"

이복현 원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밸류업 프로그램 홍보를 위한 해외IR에 나서고 있다.(사진=금융감독원)
[뉴욕(미국)=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미국 뉴욕에서 해외투자자와 만나 오는 6월을 목표로 일부라도 공매도 재개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공매도 재개 시점이나 허용범위, 재개방식 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발표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16일(현지시간)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가 서울시와 부산시, 금융권 등과 미국 뉴욕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한 투자설명회(IR)‘INVEST K-FINANCE : NEW YORK IR 2024’에 참석해 “개인적 욕심은 6월 공매도 재개를 일부라도 하는 것”이라며 “기술이나 제도적 측면에서 미비하면 기관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 등을 수렴해서 이런 타임 스케쥴로 하겠다는 내용을 시장과 소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공매도 재개 시점을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혀온 이 원장이 공매도 재개에 대해 긍정적인 뜻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현지 투자자와의 대화에서 공매도 재개 시점을 묻는 질문이 나오는 등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공매도 재개에 쏠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원장은 “기관이 잔고를 관리하는 시스템 등은 시간과 예사이 필요하고 법 개정에 대한 견해도 엇갈리고 있다”며 “법을 개정하지 않고 운영하는 방안을 5~6월 사이 끝내 불법 공매도를 방지할 전산시스템 운영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뉴욕IR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 밸류업 정책’을 홍보하는 한편, 해외투자자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개선하고, 개선할 계획임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불안정한 글로벌 경제 상황에서 우리 금융산업이 안정적이고 건전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황임을 강조하는 것도 목표다.

해외투자자들은 공매도 외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일본의 정책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나타냈다. 현장에서 일본의 정책과 차이를 묻는 질문에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밸류업 프로그램을 유도하기 위해 정책적 차원에서 인센티브를 반영할 것”이라며 “투자자들이 어렵지 않게 기업의 정보에 접근하고 효율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통합 웹사이트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정 이사장은 기업의 참여도가 높을 것인지를 궁금해하는 투자자를 위해 “전적으로 기업 자율에 맡기면서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며 “또한 업종이나 기업 특성에 따라 밸류업 참여보다 미래 투자가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부 해외 투자자들은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 등에 따른 국내 금융사의 부실 우려에도 주목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이미 해외 부동산 가치 하락을 반영해 투자원금의 일정부분을 장부에 손실로 반영하고 있어 해외 부동산 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확신한다”고 단언하기도 했다.

이번 행사에는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생명보험, 현대해상도 참여했으며 이들 역시 밸류업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김미섭 미래에셋증권 부회장은 “올해 2월 주주환원 3개년 계획을 발표하는 등 배당 외에도 지속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할 것”이라며 “최소한의 주식 소각 수량도 제시한 만큼 보다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